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출법 이후 보호무역이 강화되면서 전북의 대미 수출이 최대 14% 급감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와 자동차·반도체 추가 관세 조치로 도내 수출 기업들의 피해가 불가피해지고 있지만 대다수 기업이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전북의 대미 수출은 최소 8.4%에서 최대 14.2%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24년 대비 총 1억19만~1억7033만 달러 규모의 수출 손실을 의미한다. 이미 전북의 대미 수출은 2024년 11억 9823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5.2% 하락했다.
전북 핵심 수출 품목의 타격이 더욱 우려된다. 전북연구원 분석 결과, 25% 보편관세 적용 시 자동차부품 수출은 2024년 대비 678만~1152만 달러(-8.6~-12.8%) 감소가 예상된다. 철강관·철강선 분야도 15% 상호관세 적용 시 355만~604만 달러(-4.9~-7.7%)의 수출 감소가 전망된다. 여기에 미국이 부가가치세에 10% 상호관세를 부과할 경우 3596만~6111만 달러(-3.2~-5.1%)의 손실도 예측됐다.
심각한 문제는 기업들의 대응 능력 부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수출 중소기업 500개 사를 조사한 결과, 89.8%가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에 대한 구체적 대응전략이 없다'고 응답했다. 전북과 같은 수출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대응 여력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비 부담도 도내 기업들의 당면 과제다. WTO 규정에 따른 수출 물류비 지원 중단으로 정부의 직접 지원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고환율 기조로 기업들의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미국산 원자재를 수입해 가공 후 재수출하는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들은 수입과 수출 양방향에서 관세 부담을 져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미국 거래처들과 수수료 조정을 논의하고 있으나, 전례 없는 상황으로 해결이 난항을 겪고 있다.
도는 지난 24일 지역 내 경제 유관기관들과 '트럼프 2기 통상정책 대응반' 첫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기업 지원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의 시급성과 중앙정부의 일률적 정책에서 벗어나 지방정부 차원의 기업별 맞춤형 지원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도는 수출 다변화와 같은 추상적 해법보다 각 기관이 즉시 실행 가능한 세부 대책 마련 등 역할 확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최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