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와 전북연구원, 민주연구원이 25일 전주 라한호텔에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기본사회 실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농촌기본사회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과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원장 이한주)이 공동 주관했으며, 김관영 도지사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정책포럼은 전북연구원과 민주연구원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농촌기본소득 정책 연구’의 일환으로, ‘기본사회 실현’의 핵심 전략으로 ‘농촌기본사회’ 구축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포럼에 앞서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이 특별 강연을 통해 기본사회의 의미와 방향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기본사회는 모든 주민이 소득, 의료, 주거, 교육 등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받는 사회다”며 “지역사회의 자치와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제발제를 맡은 전북연구원 황영모 생명경제정책실장은 “농촌이 담당해 온 일터·삶터·쉼터의 역할을 유지하는 것이 기본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핵심 과제”라며 이를 위한 실천 전략으로 ▲농촌기본소득 ▲농민공익수당 ▲농촌생활돌봄을 제시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농촌사회에서부터 기본사회를 실현하는 전북자치도의 정책혁신이 기본사회를 만들어가는 우리 사회의 전환점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북연구원과 민주연구원은 지난해 9월 ‘농촌기본소득 연구협약’을 맺고 선도정책을 기획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10월에는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의 ‘기본사회와 지역사회’ 특강을 통해 기본사회에 대한 사회적 기반 마련의 자리를 가진 바 있다./김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