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의료와 식품의 융합, 전북의 미래산업으로 키우자
    • 대한민국이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노년 인구의 급증과 함께 만성질환의 장기화, 의료비 증가, 건강수명 단축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위기다. 이런 흐름 속에서 의료와 식품이 융합된 새로운 산업, 즉 ‘메디컬 푸드’가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영양 보조가 아니라, 질환별 환자의 회복과 치료를 돕는 맞춤형 식이요법으로서, 의료와 식품 산업의 경계를 허무는 미래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신산업의 잠재력을 가장 먼저 감지하고 구체적 비전을 제시한 곳이 바로 전북이다. 최근 한 포럼에서 전북연구원 정세영 석좌연구위원은 ‘Medical Food, 왜 전북인가?’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전북이 메디컬푸드 산업의 최적지임을 역설했다. 그는 메디컬푸드를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과 명확히 구분하며, 의료인의 감독 아래 질환별로 설계·처방되는 ‘영양 치료 수단’으로 정의했다. 환자의 회복률 향상과 재원 기간 단축 등 임상적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산업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는 각별하다.

      정 연구위원이 전북을 메디컬푸드 산업의 중심지로 지목한 이유도 명확하다. 전북은 원료 재배, 연구개발, 제조, 수출까지 하나의 벨트를 갖춘 유일한 지역이다. 약용작물 기반의 풍부한 농업자원,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전북농업기술원 같은 연구·산업 인프라, 새만금 RE100 기반의 친환경 산업단지, 군산항 수출 인프라까지, 메디컬푸드 산업의 가치사슬을 완성할 모든 조건이 집약돼 있다.

      전북형 메디컬푸드 전략은 단지 산업 하나를 키우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것은 농업과 바이오, 의료와 식품을 하나로 엮는 융합산업 혁신모델이다. 고령화 시대 국민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 농가 소득 증대, 지역 일자리 창출, 수출 산업화 등 파급효과가 막대하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전북자치도의 전략적 역할이 결정적이다. 우선, 메디컬푸드 산업을 단순한 연구 과제로 두지 말고 ‘전북형 미래 전략산업’으로 공식화해야 한다. R&D-산업-정책을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산학연 병원을 연결하는 협력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또한 전북 특산물 기반의 기능성 소재를 표준화하여 세계 시장에 통용될 수 있는 품질 인증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행정은 규제 완화와 제도적 지원으로 산업의 토대를 다지고 민간 기업은 기술혁신과 글로벌 진출을 통해 산업의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

      이제 전북은 그린바이오를 넘어 레드바이오, 즉 의약·건강 중심의 바이오산업으로 확장할 전환점에 서 있다. 메디컬푸드는 바로 그 교차점에서 전북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수 있는 동력이다. 단순한 ‘식품산업’이 아닌, 국민 건강을 지키는 ‘치료보조산업’으로서, 미래 고령사회의 핵심 먹거리로 자리 잡을 것이다.

      전북이 메디컬푸드 산업의 국가 거점으로 자리매김한다면 이는 단지 지역경제의 성장만이 아니라 국가적 건강복지 혁신의 시작이 될 것이다. 농생명과 의학, 식품과 과학이 융합된 전북형 메디컬푸드 전략이 한국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길을 열기를 기대한다.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전북타임즈로고

회사소개 | 연혁 | 조직도 | 개인정보보호,가입약관 | 기사제보 | 불편신고 | 광고문의 | 청소년보호정책 | 고충처리인 운영규정

5499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태진로 77 (진북동) 노블레스웨딩홀 5F│제호 : 전북타임스│ TEL : 063) 282-9601│ FAX : 063) 282-9604
copyright ⓒ 2012 전북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bn88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