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자치도, ‘금융도시 공약’ 재추진 …기대와 회의 교차
    • -이재명 정부 금융도시 관련 공약 추진에 지선용 지적
      -김관영 도지사, 금융중심지 정책 관망세에서 태도 변화
      -공약 재추진 신뢰 얻으려면 실질적 대책 내놓아야 ‘주장’
    • 전북자치도가 한동안 사실상 유보했던 ‘전북 금융도시 조성’ 공약을 다시 꺼내 들면서 지역사회에 기대와 의구심이 교차하고 있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책 실현 가능성보다는 '선거용 퍼포먼스'라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김관영 도지사는 실현 의지를 거듭 밝히며 관련 구체계획 수립에 착수한 상태다.

      전북도는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전북 금융특화도시 조성’ 추진을 계기로, 금융위원회에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요청하고, 국회의원들과의 협조 체제를 구축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지사는 이를 위해 ‘금융중심지 개발계획’ 수립에 나섰으며, 이 계획을 토대로 중앙정부를 설득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금융도시 조성 사업은 출발 이후 수년간 실질적 진전 없이 정체돼 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2017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가 전북혁신도시에 입주하면서 ‘연기금·자산운용 특화 금융도시’ 구상이 본격화됐지만, 이후 이렇다 할 성과 없이 정치권의 반복된 ‘선거용 공약’ 수준에 머물렀다는 지적이다.

      전북이 서울과 부산에 이은 제3금융중심지로 지정되자는 논의는 2019년 이후 공식 채널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2023년 정부의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에 전북을 포함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최종 반영되지 못했다. 민주당의 20대와 21대 대선 공약집에서도 ‘제3금융중심지’라는 표현은 아예 제외됐다.

      이와 함께 금융도시 조성의 또 다른 축인 전북 국제금융센터 건립 사업 역시 답보 상태다. 당초 도는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북신용보증재단의 신사옥 형태로 활용하려 했지만, 예산 문제와 실효성 논란에 부딪혀 진척을 보지 못했다. 사업 주체와 역할 분담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 부재도 난관으로 꼽힌다.

      핵심은 전북에 글로벌 자산운용사 및 국민연금 수탁기관의 본사를 유치할 수 있는 금융 생태계 조성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나 금융당국 차원에서 이 같은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사례는 없으며, 외부 투자 유인책 또한 미비하다는 지적이 많다.

      현재 전북에는 국내외 금융기관 16곳이 연락사무소를 운영 중이지만, 이들 대부분은 최소 인력만 상주하며 실질적 기능은 서울 본사에서 처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내 금융산업 활성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금융도시 조성은 단순한 지역개발 차원을 넘어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지원과 금융산업 구조 개편이 동반돼야 실현 가능하다”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다시 ‘희망 고문’으로 끝나는 일이 반복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에는 과거와 다르게 실행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대통령 공약이라는 점에서 정부 설득의 동력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도민 사회 일각에서는 “민선 8기 임기 막바지에 들어선 시점에서 갑작스럽게 추진되는 정책이 또다시 공허한 수사에 그치지 않을지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김은지 기자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전북타임즈로고

회사소개 | 연혁 | 조직도 | 개인정보보호,가입약관 | 기사제보 | 불편신고 | 광고문의 | 청소년보호정책 | 고충처리인 운영규정

5499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태진로 77 (진북동) 노블레스웨딩홀 5F│제호 : 전북타임스│ TEL : 063) 282-9601│ FAX : 063) 282-9604
copyright ⓒ 2012 전북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bn88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