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공간의 주인이 사람인가, 자동차인가."
전북자치도 전주시가 완산구 충경로 보행환경특화거리 인도 위 노상에 포켓주차장을 추진하면서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을 사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14일 성명을 통해 보행자 친화거리 조성 사업의 취지에 맞지 않고, 교통 사고 위험을 키우는 인도 위 노상 주차장 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이면 도로 상가도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주차장이나 주차 할인권 도입 등 대체 방안 마련을 촉구한다.
전주시는 2022년부터 총 184억 원을 투입해 ‘충경로 도로환경 개선사업’을 우여곡절 끝에 지난해 10월 준공, 개통후 걷고싶은 거리로 재탄생했다.
당초 충경로 도로환경개선 사업은 민선 7기 김승수 전 시장이 원도심 대표 거리인 충경로를 사람과 문화로 채우는 차 없는 사람의 거리로 만들겠다는 ‘충경로 문화거리 기본구상’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전주시는 최근 인근 상가의 활성화 등을 위해 이곳 충경로 인도 노면위에 36면의 포켓주차장 건설을 추진증이다.
현재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이동식 대형 화분을 설치했는데 그 간격이 3M이다. 맘만 먹으면 언제든 주정차가 가능하다. 대체 주차 공간은 이미 존재한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국비지원을 받기 위해 행정안전부에 ‘그린뉴딜 안전속도 5030 시범 도로 조성사업’을 신청했다가 ‘보행환경특화거리 조성사업’으로 변경해서 2020년 10월 공모에 선정되었다.
실제로, 전주시는 2021년 2월 22일 충경로와 충경로 일원을 ‘보행환경개선지구’로 지정 고시까지 했다.
이 고시문에서 “사람 중심, 보행자 중심 정책 시행에 따른 대응과 한옥마을의 보행권역을 확대해 전주만의 특별한 문화보행 도로로 조성해 대한민국 대표 관광 보행축 형성”이라는 지정 필요성을 명시하기도 했다.
이처럼 전주시는 충경로를 차량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도심을 재구성하고, 보행자 안전과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전주시의 대표적 원도심 재생 프로젝트로 추진되었다.
이와 관련 전북환경운동연합측은 "전주시와 우범기 시장은 행정의 원칙과 일관성을 지키고, 보행자와 자전거, 문화가 공존하는 거리, 교통사고 걱정 없는 공간을 만들겠다는 시민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전주시는 보행자 중심 거리로 재탄생한 충경로 인도 위에 주차장을 만드는 ‘스마트포켓 주차장’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충경로 객사 구간(옛 민중서관~다가교) 26면, 충경로 동부시장 구간(풍년제과~병무청 오거리) 10면 등 총 36면의 주차장을 만들고 있다. CCTV 관제 시설비로만 무려 5억 3천만 원의 혈세가 들어갔다.
전북환경운동연합측에 따르면 차로 폭을 줄여서 넓힌 인도 위에 주차장을 만드는 포켓 주차장은 차량 이용을 권장하고 사고 위험을 높인다는 점에서 보행자 중심의 거리 조성 사업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인도를 넓혀서, 가로수와 정원을 만드는 시의 도시 숲 조성 사업에도 맞지 않는다. 대중교통 중심으로 도로 체계 바꾸겠다는 기린대로 전주형 BRT 사업과도 충돌한다고 주장했다.
충경로 이면도로에는 사설 주차장과 종교시설 주차장이 다수 존재한다. 일부 시간을 제외하고는 주차 여유 공간이 충분하다. 상가 활성화를 위한 진정한 대안은 인도 위 포켓 주차장이 아니다. 필요한 건 ‘공간 확대’가 아니라 ‘공간 공유’이다. 주차 할인권제도 도입, 사회 협약을 통한 공유 주차장 운영 등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은 얼마든지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공동대표는 "왜 우범기 시장은 가장 손쉬운 ‘도로 위 주차’만을 선택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36면의 포켓 주차장이라고 강조하나 인도 위에 차를 세울 수 있게 되면 주차 공간이 아닌 인도에도 많은 차량이 주차를 시도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전주시와 우범기 시장은 행정의 원칙과 일관성을 지키고 보행자와 자전거, 문화가 공존하는 거리, 교통사고 걱정 없는 공간을 만들겠다는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라"고 촉구했다. /정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