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임실군 운암면에 수입억원을 투입해 조성한 '기능성식품지원센터'가 개소 이후 수년간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센터를 임대한 W업체가 3년 계약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1년 만에 계약을 취소한채 사업을 철수해 기능성식품지원센터는 사실상 운영이 중단돼, 관련 농가는 물론 지역주민의 우려를 낳고 있다.
기능성식품지원센터(센터)는 임실군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식품 개발 및 산업화를 목표로 2020년, 45억여 원의 예산을 들여 개소했다. 센터는 기능성 식품 연구개발, 생산기술 지원, 관련 산업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임실군이 전국적인 기능성 식품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이를 통해 지역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지역민들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것을 목표로 설립됐다.
그러나 개소 이후 몇 년이 지난 지금, 기능성식품지원센터는 설립 당시의 기대와 달리 제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고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센터의 부진은 임실군의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능성 식품 산업에 대한 지원이 미흡하다 보니, 지역 농업에 새로운 시장을 열고 부가가치를 높일 기회가 사라졌다. 또한, 센터를 활용한 농민 교육이나 생산기술 향상 기회가 부족해 농업인들이 최신 기술을 배우거나 발전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는 결국 지역 농산물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지역 경제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임실군 한 특용작물 재배 농가는 "국민의 혈세를 45억여원이나 들여 기능성식품지원센터를 설립했지만 농민들에겐 아무런 해택도 없었고 이제는 운영조차 되지 않으니 한심한 일이다. 이런 책임은 누가 지는 것인가"라며 "차라리 농민들에게 건조기 처럼 농가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지원해 줬으면 좋은 소리나 들었을 것"이라고 허탈한 심정을 밝혔다.
임실군 관계자는 "지난해 식품지원센터를 임대한 업체가 중국과의 계약이 미체결됨에 따라 경영난을 겪으며 운영을 포기하게 됐다. 5월에는 공고를 통해 새로운 업체를 선정해 식품지원센터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병열.최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