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upload/1667891460291449431.jpg)
전라북도립국악원(원장 이희성)은 「목요국악예술무대 ‘토닥 토닥’」 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공연>으로 변경하여 11월 10일 저녁 7시 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서 개최한다.
국악원은 이번주 공연을 ‘전라도 소리, 길을 묻다! <남도민요의 향연>’으로 기획했으나,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깊은 조의와 애도를 전달하는 추모 공연으로 조정했다.
창극단, 관현악단, 무용단 등 예술단원 28명은 민요 ’보렴‘, 무용 ’살풀이‘, 남도민요 ’육자배기‘·’한타령‘, 대금 독주 ’청성곡‘, 판소리 심청가 중 ’주과포혜‘, 거문고 독주 ’석류(떠나간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4월의 노래‘ 등 6개의 작품에 추모의 마음을 담아 무대에 올린다. 고통과 상심속에 있는 유가족과 부상자의 슬픔과 아픔을 전통예술로 위로하고 함께 하는 공연이다.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민요 ‘보렴’을 시작으로 슬픔을 승화시켜 춤사위로 표현하는 무용 ‘살풀이 춤’이 이어진다.
삶 속에서 느끼는 애환을 슬프고 애절한 선율과 가사로 노래하는 남도민요 ‘육자배기’, ‘한타령’과 계면조로 맑고 청아한 음악적 이면에 슬퍼도 슬픔을 표현하지 못하는 이면의 철학을 가진 대금독주 ‘청성곡’을 연주한다.
곽씨부인을 안장 후 어린 딸을 안고 날을 새며 통곡하는 심봉사의 심정을 담은 판소리 심청가 중 ‘주과포혜’, “상처는 많은 기억을 준다”는 뜻으로 생명을 노래하는 거문고 독주 ’석류(떠나간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와 ‘4월의 노래’가 추모 공연의 마지막을 맡는다.
목요국악예술무대 ‘토닥 토닥’은 도민의 문화향유권 확대를 위한 무료공연이다.
공연당일 1시간 전부터(저녁 6시 30분) 현장에서 좌석권을 선착순으로 받을 수 있다. 보다 편안한 공연 관람을 위해서는 공연 1주일 전부터 국악원 누리집에서 사전 예약을 하면 된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