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upload/1689750900291641571.jpg)
스마트 농업은 센서, 드론,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작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데이터 분석 통해 작물의 상태, 토양 조건, 작물 생장 및 예측 등을 파악한다. 또한, 농사 일정 및 작업 관리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스마트 강소농은 정보 통신 기술(ICT)을 활용하여 농업 경영을 혁신하는 농업경영체를 의미한다. 시설하우스와 스마트 강소농의 결합은 농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을 준다.
시설하우스 내부의 환경 조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면서, 스마트 강소농의 데이터 분석 능력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여 작물을 최적의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농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농업 경영의 안정성과 수익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시설 하우스와 ICT 기술의 결합은 작물 선택의 폭도 다양하게 하고 있다. 딸기, 수박, 상추를 비롯하여 멜론, 애플망고, 바나나 등이 재배되고 있다.
여러 작목 중 국내산 망고 수요는 소비 흐름의 변화와 수입산 대비 품질 고급화와 차별화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재배면적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망고는 아열대 기후에서 잘 자라는 인기 있는 과일이다. 이름 그대로 APPLE+MANGO 의 합성어다. 겉면이 마치 사과처럼 붉은 색을 띠고 잇어서 애플망고라는 이름이 붙었다. 따뜻한 기후와 햇빛이 풍부한 환경에서 성장하며, 맛과 향이 풍부하여 많은 사람에게 인기가 있다.
‘허니애플망고’ 조상호 대표는 아열대 과수 애플망고를 재배하는 농업인이다. 농업경영의 선도주자로 꿈을 키우면서 과수 소득을 창출하고 있다.
![](/news/upload/1689750900291641572.jpg)
자줏빛 꿈이 익어가는 인생 1막 2장
조상호 대표는 인생 1막 2장에서 자줏빛 꿈이 익어가고 있다. 영농현황은 1,848㎡, 품종은 ‘어윈’, 3~4년생이 680주로 생산량이 2ton 정도다.
제2의 삶을 살고자 귀농을 결정하면서 초기 많은 애플망고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발품을 팔면서 재백 기술을 배웠다”고 한다.
수확시기는 5~7월 사이로 평균 최고기온이 30℃로 생육환경이 되어야 당도가 높고, 착색이 잘 된다. 애플망고 재배에 최적화된 상태의 시설하우스 내 온·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유지하여 재배하고 있다.
신선한 국내산 애플망고 제대로 맛 보세요
현장에서 맛을 본 애플망고는 단맛과 아삭한 식감이 일품이었다. 이처럼 국내산 망고 특징은 수입산에 비해 신선도가 높다. 수확 후 4~5일이면 식탁에 오를 수 있어 신선하게 먹을 수 있다.
수입산 망고 과정은 검열을 위해 75℃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한 후 다시 냉동 저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유통 과정이 길어지고 신선도 유지가 어려워지기도 한다.
![](/news/upload/1689750900291641573.jpg)
애플망고 빙수, 샐러드 핫 이슈
애플망고는 요즘 카페 메뉴에서 많이 보이는 과일이다. 주로 생과일로 소비되지만 주스, 빙수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된다. 맛과 향이 풍부하며 당도가 높아 달콤한 맛이 특징이라서 인기가 높다. 살짝 씹으면 주스가 터져 나오는 것도 애플망고의 특징이다.
특히 애플망고 샐러드로 활용되기도 한다. 애플망고를 채썰어 믹서기에 간다거나 잘 으깨서 페이스트 형태로 만든다. 양상추나 샐러드 잎, 토마토, 오이 등과 함께 그릇에 담고 애플망고 페이스트를 골고루 올려주면 된다. 식초, 올리브 오일, 소금, 후춧가루로 간을 맞추고, 옵션으로 새콤달콤한 드레싱을 추가할 수 있다. 고명이나 호두, 땅콩 등을 곁들여 맛을 더 해준다.
앞으로의 계획은?
조상호 대표는 먼저 ‘허니애플망고’ 브랜드화를 추진하려고 한다. 상표 등록과 디자인 개발을 통해 제품 가치 향상을 준비한다.
이어, 애플망고를 활용한 체험과 가공이다. 생산뿐만 아니라 체험농장 조성과 망고를 이용한 가공품을 개발하여 망고잎을 활용한 차 등을 개발할 계획하고 있다.
전북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 이영수 팀장은 “한국 애플망고는 농산물 시장에서 인기가 높다. 수요에 비배 생산량과 기술 보완이 필요하기도 하다”며 “망고 재배가 쉬운 작목은 아니기 때문에 기술 향상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생산량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환경제어 시설과 재배 기술 지도 보급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경영체 현황
· 성 명 : 조상호 (010-3937-3055)
· 주 소 : 전주시 덕진구 화전신정길 64(과원 : 전주시 덕진구 화전동 74-1,2)
· 농장명 : 허니 애플망고
사진제공 : 전북농업기술원 홍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