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산업현장에서의 안전 불감증은 현재 진행형이자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대형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는 산업현장에서 안전대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현장의 안전 불감증은 도를 넘었다. 잊을만 하면 반복되는 것이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사고다.
귀중한 목숨을 앗아가도 그때뿐이다. 기본을 지키고 조금만 주의만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데도 별다른 관심이 없다. 그러다가 안전사고가 나면 호들갑이다. 미흡한 안전의식이 불러온 총체적 인재임에도 나아질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산업재해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지난해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자는 971명이다. 전주고용지청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4년 간 전북도내 사업장에서 발생한 산재 근로자는 총 7천647명, 이 가운데 132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도 10월까지 1천784명의 근로자들이 크고 작은 산재로 피해를 입었고 사망자는 25명에 달했다.
사고 원인으로는 떨어짐이 1천428명, 넘어짐 1천401명, 끼임 894명, 절단·베임·찔림 859명, 부딪힘 535명, 깔림·뒤집힘 231명 등이다. 안전교육과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작업자가 약간만 더 주의를 기울였다면 피할 수 있는 사고들이 대부분이다.
전북 5개 시민·사회단체가 ASA완주공장 사망사고와 관련, 노동자 안전사고 예방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 6일 고용노동부 전주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ASA공정 전반의 산업안전 위해요소에 대해 작업 중지명령을 내리고, 안전조치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 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달 29일 새벽 완주 봉동읍 자동차 휠 제조업체인 ASA공장에서 중국 국적의 A(45)씨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리프트에 몸이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시민단체는 “사측은 산업안전대책 마련을 위한 현장 노동자와의 대화는 거부하고, 어설픈 인터넷 동영상 시청으로 사태를 무마하고 있다”며 “고용부의 행정권을 총동원해 노동자의 안전이 확보될 때까지 작업 중지와 실질적 개선조치를 명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재 사망사고는 안전관리가 부실하고 작업 환경이 열악한 소규모 사업장이나 하도급업체에 집중돼 있다. 수박 겉핥기식 안전점검과 임시미봉의 땜질 처방으로는 반복되는 사고를 막을 수 없다. 사전예방 조치만 제대로 했더라도 발생하지 않았을 사고가 많다. 사고의 반복을 예방하기 위해 당국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무리 좋은 법과 제도를 만들어도 그것을 집행하는 사람들의 근본적인 인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어떤 정부에서나 최우선이어야 한다. 안전은 백번을 강조해도 방심하는 순간 위험에 빠진다는 사실을 누구를 막론하고 뼈저리게 새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