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출신 인사 대거 중용…기회로 활용하자

인물 기근에 허덕이던 전북에 모처럼 가뭄에 단비가 내리고 있다. 문재인 정부 집권 후반기 접어들면서 전북 출신 인사들의 중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지난 1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날 표결은 자유한국당이 거세게 항의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조용한 분위기속에서 치러졌다. 특히 표결에 앞서 전북 등 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대안신당과 민주평화당은 일찌감치 사실상 찬성의사를 표출했다. 총선을 앞두고 야권에서 전북 등 호남민심을 의식해 당초부터 인준이 부결될 가능성은 높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정 후보자의 국회 인준안 통과로 전북은 5공시절 16대 김상협(부안), 17대 진의종(고창), 김영삼 정부 시절 25대 황인성(무주), 김영삼-노무현 정부에서 각각 총리를 지낸 20대, 35대 고건(군산), 노무현 정부 때 38대 한덕수 총리 이후 6명째를 배출하게 됐다.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진안) 임명동의안 통과에다 김현미 국토부장관(정읍), 진영 행안부장관(고창) 등이 정부의 핵심 요직을 꿰차고, 지난주 있은 검찰 인사에서도 전북 인사들이 대거 발탁되면서 전북 출신 인사들의 약진에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검찰요직 ‘빅4’ 중 서울중앙지검장과 법무부 검찰국장, 대검 반부패·강력부장 등 3자리에 모두 전북 출신이 중용됐다. 이성윤 신임 서울중앙지검장은 고창, 검찰 인사·예산을 총괄하는 조남관 법무부 검찰국장은 남원, 심재철 대검 반부패·강력부장은 완주 출신이다.


검찰의 핵심요직을 전북 출신이 독차지 한 것은 헌정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여기에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시댁이 정읍이고 현재 남편이 정읍에서 변호사 활동을 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사법?검찰 개혁 문제를 전북 출신이 사실상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대 정부의 전북 출신 중용은 인사 탕평책 홍보를 위한 구색 맞추기 용에 불과했다. 대부분 전북을 상징할 수 있는 인사들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문 정부에서 전북 출신 인사의 입각은 역대 정부 때와는 무게감이 다르다.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역대 정부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내실이 있다.


기회란 자주 오는 법이 아니다. 이마저 ‘소녀처럼 왔다가 토끼처럼 달아난다’고 했다. 정권이 바뀌거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인사가 언제 어떻게 뒤바뀔지 모른다. 모처럼 정부 요직에 전북 출신들이 대거 중용 된 지금이 산적한 전북 현안 문제를 풀어갈 적기가 아닌가 싶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어라’는 말이 있듯 마른 대지에 물이 가득 찼을 때 열심히 노를 저어야 한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가 되는 것이다. 신임 정세균 총리가 배후에서 전북의 든든한 우군이자 불쏘시개 역할을 충실히 해 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