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대한민국의 가장 보편적인 가구 유형으로 자리를 잡아 가면서 이제 우리 사회의 대세가 됐다. 혼자 산다는 것은 학업 혹은 직업 등으로 인해 일시적이며 어쩔 수 없이 집을 떠나 있는 상황으로 생각을 했지만 우리가 지각하지 못한 사이 ‘나 홀로 가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혼자서 밥을 먹거나 술을 마시는 ‘혼밥’이나 ‘혼술’이라는 유행어도 익숙한 단어가 됐다. 이 덕분에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으로 ‘1코노미’가 주목받고 있다. 1코노미는 ‘1인’과 ‘경제(이코노미)’의 합성어다.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생긴 신조어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1인 가구의 실상이 어느 정도인지 쉽게 짐작이 가능하다. 지난 20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호남·제주 가구 현황 및 전망’을 보면 지난해 전북지역 1인 가구 비중이 32.5%(23만8000 가구)에 달했다. 오는 2047년에는 무려 40%대에 진입한다고 한다. 10명 중 4명이 ‘나 홀로’ 산다는 것이니 핵가족이란 말도 무색해질 일이다.
평균 가구원수는 2019년 2.32명에서 2020년 2.30명, 2027년 2.18명, 2037년 2.08명, 2047년 1.99명까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미혼가구 비중은 2019년 14.3%에서 2047년 26.4%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올해 전북지역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중 1인가구도 16만3000명(40.4%)으로 전년 대비 8만 가구가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의 급증은 미혼과 비혼, 이혼 인구 증가 등 인구·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현상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은 청년실업난으로 인한 젊은 층의 결혼기피와 저출산과도 무관치 않으며, 세계 최고의 노인빈곤율과도 맞닿아 있다고 지적한다.
1인 가구 증가는 필연적으로 경제와 사회구조의 변혁을 동반하게 된다. 경제적으로는 산업과 고용, 노동구조가 지금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사회적으로도 고령자 1인 가구를 중심으로 한 빈곤층의 확산, 고독사 증가 등의 부작용이 뒤따르게 될 게 분명하다. 이들을 뒷바라지해야 하는 청·장년층 부담이 커지면서 빈곤층으로 동반 전락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1인 가구’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다. 우리나라 복지 제도는 아직 가족 중심 제도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가족, 다인가구 위주로 짜인 복지모델과 시스템을 재검토해 새로운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급선무다. 혼자서 산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들 모두를 사회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여러 생활 여건이나 환경, 제도가 급격한 사회 변화를 따라 가지 못할 때 심각한 사회병리 현상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재앙을 맞을 수도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 같은 급속한 인구구성 변화를 직시하고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안전망 재정비를 비롯한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