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가짜뉴스·유언비어도 또 다른 전염병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틈을 타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와 유언비어라는 또 다른 전염병이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 등을 통해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들 매체의 특성인 대규모 정보의 빠른 전파력, 소스 출처 확인의 어려움 때문에 이용자가 가짜뉴스를 사실처럼 받아들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틱톡에 게시된 한 동영상은 “중국 정부가 사람들을 죽일 목적으로 바이러스를 유포했다”며 생화학무기 사용설을 주장했다. 이 동영상은 3만2000회 이상 조회, 8000건이 넘는 ‘좋아요’를 기록하며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또 다른 게시자는 “중국정부가 100년마다 인구 통제 수단으로 동물을 이용해 바이러스를 전파하고 있다”고 말해 발병 초기 이같은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사실인 것처럼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심지어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특허 받은 이 바이러스 개발에 참여했다는 음모론은 16만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얼마 전에는 “서울의 지하철역에서 중국인이 쓰러졌다”는 글과 관련 동영상이 SNS를 통해 퍼져나갔지만 술 취한 사람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도의 한 의료원에 우한 폐렴 확진환자가 들어와 봉쇄됐다”는 소문이 유포됐지만 유언비어로 밝혀졌다.


당사국인 중국의 법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고의로 유포하는 사람에게 최고 사형을 선고하고,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경우 최고 15년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감염 사태를 국가안보에 준하는 상황으로 보고 그 같은 악의적 행위에 대해 국가 전복을 꾀하는 선동으로 간주한 것이다.


청와대와 정부도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 가짜 뉴스와 유언비어는 하루가 다르게 확대재생산 되는 모습이다. 사태의 심각성이 커지가 문재인 대통령까지 나서 가짜뉴스에 엄정히 대응하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가짜뉴스에 대해 ‘국민 안전을 저해하는 중대한 범죄행위’라고 규정하며 엄정한 대응을 거듭 당부했다.


가짜 뉴스로 인한 부작용은 바이러스만큼이나 무섭다. 가짜 뉴스를 접한 사람들은 필요 이상의 공포를 가지게 되고, 이는 당국의 과잉 대응으로 이어진다. 게다가 마치 정부가 의도적으로 진실을 감추는 것인 마냥 착각을 불러 일으켜 정부와 국민간의 신뢰 관계를 훼손시키기도 한다. 정부는 괴담과 가짜뉴스를 발본색원하고 악의적인 유포자는 일벌백계로 엄벌해야 한다.


아울러 바이러스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확실한 대응책을 마련해 국민이 괴담에 현혹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공공기관이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공개해야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는다. 지난 메르스 때는 접촉자나 확진자 등 중요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더 큰 고통을 겪었다. 건강한 소통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