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지역 경제 악순환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군산지역은 지난 2017년 7월 현대자동차 군산조선소, 2018년 5월 한국GM 군산공장이 잇따라 폐쇄됐다. 최근에는 타타대우상용차와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OCI 군산공장도 대규모 실직이 예고되는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지난달 31일 군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8번 확진자까지 발생해 지역경제가 다시 한 번 패닉 상태에 빠졌다.
전북도는 군산시에 대한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 지정기간 연장안을 지난 7일 정부에 신청했다. 지정기간이 오는 4월로 끝남에 따라 다시 연장을 요구한 것이다. 전북도는 함께 지정받은 ‘고용위기지역’도 연장을 요청할 방침이다. 정부 군산시를 산업위기지역과 고용위기지역으로 각각 지정해 특별 관리해왔다. 두 종류의 위기지역이 동시에 지정된 것은 군산시가 국내 첫 사례다.
연장 여부는 빠르면 2월중 관계부처 현장실사와 심의를 거쳐 3월중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릴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 장관 회의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연장안이 승인되면 도내 일원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옛 GM자동차 군산공장 협력사들에 대한 경영안정 지원 사업이 계속 추진된다. 만약 연장안이 부결될 경우 지역사회 스스로 위기를 헤쳐 나가야만 한다.
경제 전문가들은 타 지역 산업위기 원인을 조선업 경기 불황 등 산업 사이클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뀌는 ‘경기적 위기’로 보고 있다. 반면, 군산은 경기적 위기에다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및 GM 군산공장 폐쇄 등 경기변동과 무관하게 돌발적으로 발생한 ‘구조적 위기’가 겹치는 유일한 지역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GM자동차를 대체할 전기자동차 클러스터의 본격적인 가동은 2021년이나 돼야만 가능하고, 군산조선소의 즉시 재가동은 사실상 어려운 상태다. 따라서 군산지역의 경제적 손실 및 산업위기는 타 지역보다 더 심각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용위기는 지금보다 더 증폭될 수 있다는 게 문제다.
군산지역 내 기업들은 지난 2018년 산업위기특별대응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정부 지원을 통해 산업 체질 개선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현대중공업과 GM 협력업체들은 강구조물 및 대체인증부품 등 사업다각화를 통한 일감 수주로 현재의 위기상황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산업위기특별대응지역 지정이 연장되지 못하면 그간 진행한 주요 사업이 추진 동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기간 연장은 군산지역에 닥친 경제위기와 지역경제 황폐화 충격을 벗어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다. 정부의 지원 없이 자치단체의 역량만으로 나락에 빠진 군산 경제를 되살리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군산지역에 불어 닥친 산업위기의 원인은 타 지역과 다르다는 점을 십분 배려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