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관리의 마지막 관문은 대학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새학기 개강을 앞두고 중국 유학생들이 대거 입국하기 때문에 대학가가 온통 비상이다. 교육부는 4주 이내 개강 연기에 이어 아직 중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지 못한 중국인 유학생에게 1학기 휴학을 권고한 상태다.
문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격리공간이다. 보건당국이 중국에서 입국한 학생들을 학교의 별도 시설에 수용해 2주간 ‘자율 격리’를 하려던 계획은 사실상 벽에 부딪혔다. 각 대학 기숙사 시설이 너무 부족해 이들조차 전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당수 중국인 유학생들이 잠재적 바이러스 보균자로 인식되는 것에 불쾌감을 느끼거나 자유·인권침해 등을 이유로 거부하고 있다. 교육부 지침이 권고에 불과해 대학이 강제하지 못한다. 이달 중 입국 예정인 전북 도내 중국인 유학생 2400여 명 중 절반 가량이 기숙사에서 관리 받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권고한 ‘1인 1실 격리’도 다인실이 많은 대학 기숙사 실정상 어렵다. 도내 대학 중 전북대만 1인 1실 수용이 가능하다. 이렇다보니 기숙사에서 관리해도 공동 수용에 따른 감염 전파 우려가 뒤따르는 데다 기숙사에 입소하지 못하게 된 한국학생들의 역차별 민원도 많다.
더 큰 과제는 기숙사에 입소하지 않고 자가격리 하는 유학생 관리다. 유학생 관리를 방역 역량이 부족한 일선 대학에게 떠넘기는 대책만으로는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 대학이 한정된 재원으로 학교 밖 거주 유학생까지 관리하기엔 인적·재정적 한계에 부딪칠 게 뻔하다.
이 같은 현실을 감안, 전주시와 전주지역 대학들은 지난 19일 긴급 지원대책 회의를 열고 개강 시기에 맞춰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들의 공항∼전주 이동과 숙소 생활 등을 대학들과 공동으로 관리하기로 했다고 한다. 시는 전주로 오는 유학생들을 위해 별도의 공항 대기소를 설치해 버스로 이동시키기로 했으며 대학들과 영상회의 시스템 구축 및 공동 상황실 운영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학생들이 거주하게 될 대학 기숙사와 원룸 등에 대한 상시적인 보호 체계도 갖추기로 했다. 시 차원에서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주길 기대한다.
외국인 유학생 격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범국민적 노력에 동참하고 학생 안전과 더불어 지역사회 불안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이다. 학사 관리는 대학 자율의 영역이지만 방역은 국가의 책임이다. 현실적으로 일선 대학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인 게 불 보듯 명확한데 나열형 대책만 내놓고 뒷짐만 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 감염병은 정부와 지자체가 관리할 일차적 책임이 있다.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일이다. 세계적 확산세를 보이는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선제적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