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증이 빠르게 확산되고 확진자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공포도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 23일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정부의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를 현재의 ‘경계’ 단계에서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했다. ‘심각’ 단계는 감염병 위기 경보 4단계 중 가장 높은 단계로 지난 2009년 신종플루 때 이어 두 번째 발령이다. 교육부도 전국의 유치원과 초·중·고, 특수학교 개학을 오는 3월 2일에서 3월 9일로 한 주 연기하기로 했다. 지금의 상황이 얼마나 급박한 위기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조치들이다.
이처럼 사회가 불안하고 혼돈에 빠져있을 때마다 항상 암세포처럼 비집고 들어오는 게 있다. 가짜뉴스라는 것이다. 우리 속담에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는 말이 있다. 코로나19와 관련된 ‘가짜뉴스’가 꼭 그런 꼴이다. 유튜브와 개인방송, SNS 등의 전파력이 어느 정도 가공할만한 위력을 지녔는지는 구지 말할 것도 없다. 과거처럼 입으로 전해지던 시대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그 영향력과 파괴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한 나라의 대통령조차 가만히 앉아서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통치를 하는 시대가 아닌가.
유쾌한 일이나 건강한 화제 거리로는 가짜뉴스나 유언비어라는 것들이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생명을 고통스럽게 야금야금 갉아 먹는 암 세포와 같은 존재이기에 당연하다. 가짜뉴스나 유언비어 등이 인터넷과 SNS를 통해 퍼지는 과정은 전염병이 확산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이것들은 전염병의 발원지처럼 하나의 게시물이나 동영상에서 시작해 순식간에 퍼져 나간다. 이 과정에서 정보의 왜곡, 음모, 과장이 덧붙여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변종 가짜들이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가짜뉴스가 연일 기승을 부리자 오죽하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운 게 가짜뉴스를 통한 불안과 공포 바이러스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코로나19로 자영업자들은 절망에 빠져 있고, 국민들의 불안과 공포감 또한 날로 깊어지고 있다. 이런 판에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 등을 통한 가짜뉴스야 말로 반사회적인 중대 범죄행위가 아닐 수 없다. 가짜뉴스는 대중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뿐 아니라 방역당국의 행정력을 엉뚱한 곳에 낭비하게 한다. 바이러스 퇴치에 전력을 기울여야 할 마당에 가짜뉴스 때문에 혼선을 빚고 과잉 대응을 유발하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근거 없이 떠도는 괴소문이 초래하는 부작용은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울 수 있다. 여기에 더해 감염증 환자와 접촉한 주민들의 개인 신상 정보까지 곳곳에서 나돌고 있다니 한편으론 참 무서운 세상이란 생각도 들 때가 있다. 경찰은 전국 지방청에 모니터링 요원을 지정해 근거 없는 의혹 제기, 명예 훼손, 개인정보 유출 등을 중점 단속하고 있다. 거짓 정보 유포자는 끝까지 추적해 엄하게 다스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