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협회 회원사들이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의 정부광고 대행 수수료 인하를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신문협회 52개 회원사들은 지난 10일 공동성명을 내고 “언론재단 배만 불리는 ‘정부광고법’을 개정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정부광고법’의 입법취지는 찾기 힘들고, 언론재단의 배만 불리는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언론재단은 별다른 역할 없이 그저 ‘통행세’ 형태로 10%의 수수료를 챙긴다”고 비판했다. 이어 “오래 전부터 ‘통행세율 10%는 말도 안 된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법 제정 과정에서 어떤 논의도 없이 묵살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부광고 대행 수수료율 10%를 3%로 내릴 것, 수수료는 정부광고 요청 기관이 부담토록 운영할 것, 수수료 수입은 대행기관(언론재단) 필수경비를 제외한 전액을 언론 진흥을 위해 사용할 것 등을 요구했다.
주객이 전도된 불공정 거래를 의미하는 우리 속담에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뙤놈?왕서방)이 가져간다’는 말이 있다. 언론재단과 언론사 간 관계가 꼭 그런 꼴이다. 준 정부기관 성격의 언론재단은 정부광고를 비롯해 지자체 및 유관기관들의 모든 광고 집행을 대행하며 10%의 수수료를 챙기고 있다. 언론사들에게 ‘슈퍼 갑’인 셈이다.
대다수 언론사 종사자들은 언론재단의 무지막지한 ‘수수료 떼기’를 도무지 납득할 수 없다고 이구동성으로 얘기하고 있다. 말도 안 되는 수수료를 가져가면서 그들이 하는 일이 무엇이고, 대체 무엇을 대행해 준다는 것이고, 언론사들에게 해주는 게 뭐가 있냐는 불만이 터져 나온 게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한 마디로 ‘손 안 대고 코 푸는 격’으로 불로소득의 전형이다.
물론 언론재단이 언론사들에게 지원을 전혀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뭔가 생색을 내는 시늉은 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렇지만 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언론사는 특정 자격을 갖춘 언론사에만 집중돼 있다. 대다수가 중앙 언론사 및 기자협회에 가입된 언론사들의 차지다.
전국 발행부수 1위 신문이나, 체급이 전혀 다른 지방 신문 혹은 시골 지역인터넷 신문이나 정부광고 등을 많이 받든, 적게 받든 불문하고 광고대행 수수료는 똑같이 챙겨가면서도 말이다. 그러면서도 오직 자신들이 정해놓은 자격기준에 들어온 매체에만 대부분의 기회를 준다.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고 무엇인가. 그나마 인터넷신문은 아예 안중에도 없다.
국내 광고시장은 네이버, 다음 등 대형 포털과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인터넷 다국적기업들이 상당부분을 장악한 데다 유튜브와 SNS 등 개인 미디어까지 대세를 이루면서 기존 언론사들은 하루하루가 생존전쟁이다. 그런 마당에 ‘신문산업 경쟁력 강화’와 ‘언론산업 발전’ 등의 명분을 내세워 설립한 언론재단이 오리려 언론사를 먹이사슬 삼아 고사시키는 집단으로 군림하고 있다니 뭔가 크게 잘못돼 있다. 이쯤 되면 언론재단이야 말로 21세기 ‘超(초) 신의 집단’이라 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