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현장 주일예배 자제를 거듭 호소하고 나섰다. 부지사와 실·국장들이 신도 300명 이상의 교회 100곳을 직접 방문해 현장 예배 대신 가정 또는 영상예배 진행과 사회적 거리 두기를 재차 당부했다. 앞서 송하진 지사는 지난 6일 호소문을 통해 종교행사 자제와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에 동참할 것을 요청하고, 지난 12일에는 목회자들과 전화 연락을 통해 현장 주일예배 자제를 요청한 바 있다.
지난 16일 경기도 성남시의 한 교회에서 40명의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했다. 전국 곳곳에서도 중·소형 교회를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정부가 전 국민에게 모든 다중 이용 시설 방문 자제를 당부하고 종교단체에도 집회를 삼가 달라고 강력히 권고해 왔음에도 예배를 강행했다가 감염 확산을 키웠다. 경기도는 급기야 지난 17일 코로나19 예방수칙을 위반한 137개 종교시설에 대해 행정명령을 내렸다. 그만큼 현재 상황이 심각하다고 본 것이다.
국내에서도 천주교는 주일 미사를 잠정 중단했고 대한불교 조계종 또한 대중법회를 중단하고 있다. 대형교회도 주일예배 등을 포기한 상황에서 개신교를 중심으로 일부 교회만 집단예배를 계속 고집하고 있다. 실제 전북도내 개신교계 중대형 교회 3분의 1은 여전히 주일예배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가 지난 15일(일요일) 기준 성인 신도 300명 이상인 도내 중대형 교회 총 117곳을 모니터링 한 결과 42곳(36%)은 여전히 교회당에 모이는 현장 예배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성인 신도 1000명 이상인 대형교회 17곳 중 4곳도 이 같은 현장 예배를 지속했다. 도내 4000여 개에 달하는 개신교계 교회들은 각각 자율적으로 예배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고 한다.
교인들이 주일에 교회에 모이는 성전 중심의 예배는 보편화돼 있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나 만나고 예배할 수 있는 하나님의 초월성을 생각한다면 교인들은 얼마든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유연하게 예배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일선 초?중?고 개학이 연거푸 연기되고 크고 작은 행사나 모임이 대부분 취소되는 마당에 일부 교회들이 주일예배를 강행한다면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은 무의미해진다. 종교적 활동이 공동체의 건강을 위협한다는 인식이 확산된다면 해당 종교에 대한 신뢰도 역시 낮아질 수밖에 없다.
종교활동의 자유는 헌법적 권리로 존중되어야 마땅하나 요즘과 같은 비상시국에는 공동체의 안전이 어떠한 가치보다 우선시돼야 한다. 교회는 사회와 동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아픔을 같이하고 협력해야 한다. 이웃과 공동체를 위하고 배려하는 것이야말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 아닌가. 이번 코로나 사태가 종식될 때까지 실내 종교 활동은 물론 야외 집회행사나 단체 행동을 절대 자제해줄 것을 거듭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