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토론회 불참 민주당 후보들의 오만 표로 심판하자

벌써부터 21대 총선 금배지는 ‘떼어 논 당상’이라고 여기는 것일까.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북지역 국회의원 후보자들의 언론사 초청 토론회 불참과 미온적인 태도에 대해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공천이 확정되기 전만 해도 언론에 한 번이라도 더 노출되기 위해 안간힘을 썼던 그들이었지만 정당 공천을 받자마자 토론회 불참으로 태도가 돌변했다.

민주당 텃밭인 전북에서 크게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굳이 토론회에 나가 자충수를 둘 필요가 없고, 상대 후보들로부터 공격당할 게 뻔해 점수를 잃은 필요가 없다는 계산이 깔려있는 게 분명하다. 토론회 불참으로 유권자들의 비판을 감수하더라도 당선에는 지장이 없다는 오만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좀 더 심하게 말하면 정당 공천을 받았으니 정당만 보고 투표하라는 얘기가 아니고 무엇인가.

전북기자협회는 지난 26일 ‘토론회 불참은 유권자 무시하는 오만’이라는 제하의 성명을 통해 “경쟁 후보의 검증 제안과 언론에서 주관하는 정책 토론회를 애써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후보들의 토론회 불참은 유권자를 무시하는 오만이자, 국민의 알 권리를 가로막는 반민주적인 행위”라고 지탄했다. 이어 “후보자에 대한 정당한 검증과 정책 논의 기회를 내팽개치고 그저 지역의 높은 정당 지지율에만 기대 선거를 치르려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면서 “민주당 전북도당 총선 후보들은 이제라도 소중한 검증의 장에 제 발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여자치 전북시민연대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민주당의 상당수 후보들이 잇따라 방송토론을 거부하고 있다”면서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서 지지도가 앞선 몇몇 민주당 후보들이 방송토론을 거부하는 것은 벌써부터 공천이 당선이라는 오만에 빠진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번 총선은 코로나19 사태에다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을 둘러싼 여야 간 극심한 알력 다툼으로 국민의 관심 밖으로 한참 밀려났다. 정당 간 정책 대결도 보이지 않고, 후보들의 선거운동에도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투표율이 극도로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런 최악의 상황에서 후보자 토론회마저 제대로 열리지 않는다면 유권자들은 대체 무엇을 근거로 후보자를 선택하라는 것인가.

방송토론은 단순히 자신을 홍보하는 자리가 아니라 유권자의 엄격한 검증을 거치는 자리다. 최대한 많은 방송 토론회에 참여해 유권자들에게 판단의 자료를 충분히 제공하고 공개적으로 정책 대결을 펼쳐야 한다. 그 길만이 정당하게 심판을 받는 길이다. 그런 의미에서 토론회 참여 여부는 선택 대상이 아니다. 토론회는 유권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에서 불참에 대한 이유는 어떤 경우도 용납될 수 없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