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암담한 선거 판세 유권자가 심판하는 수밖에…

총선 후보 등록이 26, 27일 양 일간에 걸쳐 마감된 가운데 21대 국회의원 선거의 막이 올랐다. 코로나19란 미증유의 사태 속에서 진행되는 이번 총선은 여의도 권력을 재편하는 의미를 넘어 문재인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2022년 대선을 향한 전초전 등의 성격을 갖고 있다.

지난 27일 후보 등록 마감 결과 전북지역은 10개 선거구에서 44명이 등록해 4.4 대 1의 경쟁률 기록했다. 지난 20대 총선에서는 47명이 등록해 4.7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정당별로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10개 선거구에 모두 후보를 냈고,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4곳, 무소속 후보는 10명이 등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주갑 6명, 전주을 7명, 전주병 3명, 군산 4명, 익산갑 5명, 익산을 6명, 정읍고창 2명, 남원임실순창 4명, 김제부안 4명, 완주진안무주장수 3명이다. 전주을에는 민주당, 통합당, 민생당, 정의당, 국가혁명배당금당 등 5개 정당 후보와 2명의 무소속 후보가 가세해 도내에서 가장 높은 7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여성 후보는 4명에 불과했다. 44명 중 20명이 전과가 있었다.

이번 총선은 코로나19로 도무지 선거 분위기가 나지 않는다. 후보등록이 시작되면 유권자들의 관심도 자연스럽게 선거판으로 옮겨지게 마련인데 그렇지 않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대면 선거운동이 자유롭지 못한 않은 탓도 있지만 20대 국회가 보여준 정치 혐오가 크기 때문일 것이다.

후보 등록 과정에서부터 누더기 선거법으로 인해 비례선거를 둘러싼 온갖 편법과 꼼수가 난무했다.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을 등판시킴으로써 소수 정당의 원내 진입을 돕는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를 짓밟았다. 여기에 여권의 친위대를 자처한 위성정당인 열린민주당까지 출현해 유권자의 혼란은 극심하다. 거대 양당은 후보자 등록 마감일까지도 의원 꿔주기를 통해 정당 투표용지에서 순번을 앞당기는 꼼수를 부렸다. 국민만 바라보겠다는 다짐은 오간 데 없고 오직 한 석이라도 더 차지하기 위한 정치 공학만 난무하고 있다. 투전판과 같은 모습이 이번에 처음 투표하는 18세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비칠지 걱정이다. 이래놓고 개혁 공천이니 쇄신 공천이니 하는 말을 입에 올릴 수 있겠는가.

정치 현실은 이처럼 참담하지만 결국은 유권자가 나서 혼탁한 판세를 심판하는 수밖에 없다. 정치가 잘못됐다고 유권자의 권리까지 포기해서는 안 된다. 국민들이 이런 몰염치한 행태를 냉철하게 심판해야 한다. 국회의원을 한번 잘못 뽑아놓으면 향후 4년은 물론, 그 이후의 국가 미래까지 망칠 수 있다는 걸 우린 잘 알고 있다. 그래서 국민의 대표자를 뽑는 소중한 권리를 이번에도 절대 포기해선 안 된다. 뽑고 싶은 후보가 없으면 차악의 후보에게라도 투표해야 그나마 나라가 덜 망가진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