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개학 일정과 관련, 4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온라인 개학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학생은 집에서 교사는 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코로나19 사태가 전혀 진정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는 만큼 학생과 교사들의 건강과 안전을 정책 결정의 최우선 기준으로 삼아야 할 때다. 학교가 집단감염의 또 다른 진앙이 될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온라인 개학은 당연하면서도 불가피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온라인 개학이 이뤄지면 전북도내 교사들은 인터넷 사이트 ‘전북e학습터’·‘EBS온라인클래스’에서 동영상 게재나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한다. ‘두근두근 1학년’·‘전북진로진학센터’ 등을 통해 생활·진로 진학에 나서고, 반별로 담임교사가 학급홈페이지·SNS 등을 통해 학생들과 소통하고 출석·학습 확인 등을 한다.
문제는 개학이 연기될 경우 학습권을 어떻게 보장하느냐 하는 점이다. 온라인 수업으로 공백을 메운다고 하지만 시행에 앞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미 온라인 개학에 들어간 대학들에서 빚어진 혼선이 초·중·고교에서는 훨씬 두드러질 게 뻔하다.
대다수의 학교는 아직 준비가 돼있지 않다. 학교 내 공용 와이파이, 교무실 컴퓨터에 웹캠과 마이크 등 온라인 수업을 위한 인프라가 마련되지 않은 곳이 대다수다.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다고 해도 실시간 강의는 어려운 형편이다.
디지털 격차도 큰 문제다. 일부 영재고와 특수목적고, 사립초·중학교에서는 3월부터 자체 온라인 수업을 운영해 온 것을 보면 지역별·학교별 디지털 격차는 이미 벌어진 상태다. 저소득층의 상당수는 컴퓨터가 없는 데다 자녀가 둘 이상인 집에서는 컴퓨터 1대로 감당이 어려울 것이다. 산간벽지나 돌봐줄 사람이 없는 장애인, 저학년, 성적부진 학생 등의 학습 격차 확대도 우려된다. 철저하고 치밀한 준비 없이 진행되면 경제 격차가 곧장 교육 격차로 이어지는 불행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교사들의 정보통신 활용 능력도 천차만별이다. 현장 수업의 부재를 메울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이지만 이같은 수업이 가능한 교사와 학교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소수다. 온라인 수업의 효용성에 대한 불신도 만만치 않다보니 아이들의 공부 현장을 일일이 살필 수 없는 맞벌이나 입시를 앞둔 고3 수험생의 학부모들은 걱정이 이만저만 아닐 것이다.
그러나 위기와 기회는 동전의 양면처럼 동행한다. 디지털 교육은 세계적 추세고 우리 미래의 과제이기도 하다. 온라인 개학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학습공백을 막고 미래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인 셈이다.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으로 삼아 제대로 된 디지털 교육의 상시화 내지 보편화를 내다보고 만반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구축토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