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전북 10개 지역 가운데 9곳을 거둬갔다. 4년 전인 20대 총선 당시 2석 확보에 그쳤던 수모를 씻고 텃밭을 재탈환했다. 이런 압도적인 지지와 기세를 바탕으로 이제 당선인들의 향후 의정 활동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북은 현재 탄소법·남원공공의료대학원 설립법, 제3금융중심지 지정, 군산조선소 재가동 등 굵직한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 가운데 탄소법과 공공의대법은 당장 발등의 불이다. 현재 이들 법안은 국회의 입법 논의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채 20대 국회 회기 만료와 함께 폐기될 운명에 처했다. 20대 국회 임기는 5월 말까지로, 5월 마지막 임시회 때 처리가 되지 않으면 자동 폐기된다.
탄소법의 경우 민주당이 당론으로 삼고 지난해 12월 임시회 통과를 약속했지만 야당의 견제와 여당의 소극적인 자세가 맞물려 지켜지지 않았다. 이어 2월 임시회 통과를 재차 확약했지만 이마저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2소위 조차 열지 못했다.
남원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법도 야당과 이익단체의 반대로 상임위 문턱도 넘지 못했다. 이 역시 20대 국회에서 처리하지 못하면 상정된 법률안이 자동 폐기된다. 공공의대법 통과 설립 필요성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경험하면서 더욱 절실해졌다. 국가재난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공공의료 인력 확충의 명분이 분명해졌다. 탄소법과 공공의대법 처리는 시기가 시기인 만큼 21대 당선자들의 의정활동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제3금융중심지 지정’ 여부도 올 하반기 열릴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가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표적인 지역공약으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담겨 있다. 대통령 공약임에도 20대 국회에서는 보수 야당과 부산 정치권의 거센 반발에 밀려 지정이 한 차례 보류됐다. 군산조선소 재가동 문제 역시 정치력·리더십 부족이라는 비판 속에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밖에 군산 전기차클러스터 구축, 새만금 수질 개선, 한빛원전 안전성 강화, 종합경기장 개발 등도 21대 국회에서 다뤄야 할 핵심 과제들이다.
지난 20대 국회의 경우 지역정치권이 사실상 사분오열돼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이번 21대는 10명 중 9명이 민주당이고, 전북에서 태어났거나 연고가 있는 국회의원 당선인이 전북을 포함 총 46명이 배출되면서 전북 현안 해결에 한층 탄력을 받을 것이란 기대가 크다. 이들이 힘을 하나로 결집할 경우 상대적으로 취약한 전북의 정치적 에너지가 크게 분출될 것이라는 희망 섞인 목소리도 높다. 특히 이번 총선을 통해 전북정치권이 세대교체를 이뤘지만 초?재선 의원들이 주축이 되면서 중앙무대 활동에 제약을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많다. 따라서 전북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범 전북 출향 의원들과의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도 크게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