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로 수차례 미뤄졌던 등교 수업이 20일부터 고3생들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교육부의 등교 결정은 이태원 클럽 관련 집단감염 사태에도 불구 국내 코로나19 신규 발생이 10명대로 떨어져 수업과 방역의 병행이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고3생의 경우 더 이상 개학을 연기하면 수능 등 학사 일정 변경이 불가피하고, 학생들의 불안감을 더 이상 외면하기 힘들다는 판단에 따른 고육지책으로도 보인다.
전북지역도 이날부터 고교 3학년과 전교생 60명 이하인 도소규모 학교 250개교가 등교수업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고등학교 133개교, 초등학교 170개교, 중학교 80개교, 특수학교 10개교 등이다. 소규모 학교에 설치된 병설유치원 170곳 가운데 144곳도 20일 등교수업을 실시한다. 초등 28개교와 중학교 3개교의 경우 소규모 학교에는 해당하지만 지역 확진자 발생 및 학교 여건 등을 이유로 개학을 27일로 미뤘다.
학생들이 등교하면 공은 이제 교육당국과 학교 측으로 넘어간다. 전북교육청은 교내 밀집도 최소화 방안과 학교 방역 등을 학교에 안내했다. 이와 함께 보건용 및 면(필터 교체용 포함) 마스크를 확보하는 한편, 체온계와 손소독제 등 방역용품도 비축했다. 294개교에 열화상 카메라도 설치된 상태다. ‘감염병 관리강화를 위한 지침 및 매뉴얼’을 마련했고,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한 모의훈련도 마쳤다.
교육부는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순발력 있게 대응하겠다며 여지를 남겼지만 학부모들과 교사들의 걱정은 이만저만한 게 아니다. 특히 이번 집단감염은 고3 학생들의 이태원 클럽 방문과 학원 강사를 통한 확산으로 4차 지역 감염 등까지 드러나고 있기에 그 우려는 쉽게 가시지 않는다. 실제로 지난 19일 익산지역에서 20대 1명이 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원광대병원에서 격리 치료를 받고 있다. 전북도내 21번째 확진자다. 국내 코로나19 집단감염이 10명대로 줄었다고 하지만 확산세가 차단된 것은 아니라는 징표다. ‘개학 연기’를 주장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22만명을 넘어선 것도 이런 불안감 때문일 것이다.
등교를 앞두고 학교 측의 모든 준비가 끝났는지는 학부모뿐만 아니라 모두의 관심사다. 학교는 집단감염 위험이 높은 곳이다. 증상이 없는 ‘조용한 전파자’들로 자칫 감염의 온상이 될 수도 있다. 학교가 뚫리면 학생 건강과 학사일정을 모두 잃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그만큼 등교 수업은 코로나 방역에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다. 학교가 문을 여는 이상 학생 안전이 최우선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일선 학교는 방역 매뉴얼을 꼼꼼히 재점검해야 한다. 철저한 대비만이 학생의 안전과 지역감염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