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수소경제’는 화석연료 극복 기술 산유국으로 가는 길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3일 완주 수소충전소와 현대차 전주공장을 방문했다. 민관합동 수소경제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 총리가 지난 1일 열린 제1차 수소경제위원회 이후 첫 행선지로 고향인 전북을 찾았다는 사실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다소 섣부른 판단일지는 모르겠지만, 정 총리의 이번 방문으로 전북이 수소경제 분야의 국가 선도모델로서 한층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정 총리는 이날 “수소경제를 우리의 미래세대를 위한 핵심 먹거리 사업으로 챙겨나가겠다”며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수소경제위원회는 새만금에 ‘그린산단’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정 총리가 전북이 수소경제를 선도할 최적지로 큰 관심을 표명한 셈이어서 전주와 완주, 새만금을 잇는 전북의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이 원활하게 추진될 전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주와 완주는 수소시범도시로 선정돼 인프라 확대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전북은 전주와 완주에 오는 2022년까지 주거·교통·인프라를 중심으로 수소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도내에 수소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산업단지 등 여건이 충분히 갖춰진 만큼 선제적 클러스터 구축이 가능할 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수소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내용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세계적 기술이 있는 수소차와 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 등 전 분야에서 ‘글로벌 퍼스트 무버’(선두주자)의 입지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수소차의 경우 현대차가 지난 2013년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이래 수소차 핵심부품인 수소전지를 비롯한 핵심부품 99%가 국산화돼 세계적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세계 자동차 시장은 지금 친환경 에너지, 자율주행을 중심으로 대 격변을 맞았다. 4차 산업혁명이 가장 치열하게 펼쳐진 곳이 자동차 분야다. 더욱이 세계 각국의 강화된 환경규제로 2025년을 전후해 자동차 주력은 친환경 미래차로 뒤바뀌게 된다. 한 발 더 나아가 도시 주요 기능을 수소에너지로 채우는 글로벌 수소도시가 생길 날도 머지않았다. 수소산업이 청정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데다 기술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세계를 선도할 우리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라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문제는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와 제도적인 뒷받침이다.

한국은 세계에서 화석연료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국가 중 하나다. 따라서 수소 경제는 이런 취약성을 극복하고 기술 산유국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대차그룹 등 민간이 이뤄놓은 성과에 정부의 선제적 지원이란 마중물이 필요하다. 민간 주도로 자생력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기까지 규모의 경제 마련을 위한 시장을 지속 창출하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