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지정됐다. 탄소소재법 개정과 국가산업단지 승인에 이은 것으로, 탄소소재 산업에 대한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마련됐다. 이번 특구 지정은 전북도가 지난 15년 간 씨를 뿌려 육성한 탄소산업이 국가 중요 전략산업임을 국가가 인정했다는 데 남다른 의미가 있다.
전북도는 지난 6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주재한 제3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전주, 군산, 완주 등 총 176.62㎢가 ‘전북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4년까지 일진복합소재를 비롯한 10개 기업,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을 포함한 6개 기관이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실증, 탄소복합재 보강재 적용 소형선박 실증, 고압 탄소복합재 수소운송시스템 실증 등의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는 전북에서 생산되는 탄소복합재 보강재에 적용돼왔던 규제를 대폭 개선함으로써 일본에 의존했던 탄소관련 기술의 자립화를 이루는 것이 핵심이다.
도내에는 탄소관련 기업체 155개사가 운영 중이지만 95% 이상이 영세한 중소기업으로 탄소복합소재 중간재 제조업체가 전무하다. 하지만 이번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통해 중간재를 생산하는 중견기업을 타 시·도로부터 유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지난해 8월 1조원 투자계획을 발표한 효성첨단소재가 연간 2만4천t의 탄소섬유를 생산할 경우 도내 기업들이 30% 이상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 특구 내에서 소재 생산, 중간재, 부품 종합재, 완제품으로 이어지는 상생협력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이 전략적으로 육성한 탄소산업은 일본 수출규제 영향으로 국가적 어려움을 겪을 때 소재부품 자립화를 이끌 효자 산업으로 조명 받은 바 있다. 지난해 일본의 대 한국 경제 보복 조치 이후 그동안 취약한 우리 소재·부품·장비 기술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탄소소재는 항공기와 자동차, 풍력발전기, 태양전지 등의 핵심 소재로 부상하고 있는 차세대 신성장 산업원자재로 꼽힌다. 철에 비해 무게는 4분의 1이지만 강도는 10배, 탄성은 7배에 달하고 내부식성, 전도성, 내열성 등이 뛰어나 ‘미래산업의 쌀’이라고도 불린다. 항공, 우주, 방산 등에 사용되는 전략물자여서 기술이전이 쉽지 않고 독자 개발도 어려워 세계적으로도 기술 보유국이 손에 꼽힐 정도다. 수소차 수소연료탱크의 핵심 소재로 수소 에너지의 안전한 저장과 수송, 이용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소재 강국으로 가는 길은 멀고도 힘들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이다. 앞으로 많은 기업들이 전북에 모여 탄소 클러스터를 만들고, 그럼으로써 전북이 대한민국 탄소산업의 중심축, 제조업 르네상스의 전진기지로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