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해외발 감염 확산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어 또 다른 고민거리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2명 증가한 가운데 해외유입이 43명이나 된다. 해외유입 신규 확진자는 지난 3월 25일 51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재유행과 맞물려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형국이다.
전북지역의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36명으로 국내 감염은 17명인데 반해 해외 유입자는 19명으로 국내 감염자 수를 넘어섰다. 지난 12일 필리핀에서 입국한 30대 여성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았다. 전북 도내 36번째 확진자다. 이 여성은 전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으며 곧바로 군산보건소로 이동해 검사를 받은 결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앞서 군산에 있는 미군 부대 소속 20대 장병 2명도 코로나19 확진을 받았다. 미국 국적의 이들은 각각 전북지역 34번째, 35번째 확진자로, 각각 시애틀과 애틀랜타에서 국내로 입국했다. 이들은 지난 10일 양성판정을 받고 오산 미 공군병원으로 이송됐다. 불과 일주일 만에 군산 미군 코로나19 확진자가 4명으로 증가하면서 지역사회 확산에 대한 우려가 일고 있다. 군산기지 내에는 약 350여 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근무 중으로 알려지며 업무상 미군들과 접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불안감에도 전북도와 군산시 등 지자체와 미군의 정보 공유는 극히 제한된 상황으로 자칫 지역사회 방역망에 구멍이 뚫릴까 우려된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미군 통보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렇다 할 방역 대책도 마련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해외유입 확진자임에도 지역 확진자 통계에 함께 포함되기 때문에 지자체마다 골치를 앓고 있다. 지역 내 감염이 극소수에 불과했던 전북도 입장에서는 최근 해외유입 확진자 수가 늘면서 청정 이미지에 타격을 입고 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감염원 통계 작성에서 지역사회 발생과 해외유입 발생을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송하진 지사는 지난 10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 회의에서 “지역사회 확진자와 해외입국 확진자를 명확히 구분해 달라”고 건의하기도 했다.
코로나19 감염자 해외유입은 지역 발생 또는 집단감염 못지않게 잠재적인 불안 요인이다. 최근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한 국가들에서 다시 재 확산 되는 사례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특별입국관리를 통해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지만 최근 원양어선 선원이나 외국인 노동자의 입국이 늘고 있어 해외유입 발 확진자가 더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런저런 감염과 확산 사례들을 보면 코로나19로부터 안전지대는 없다는 것이 실감되고 있다. 세밀한 입국자 관리 이상의 최선책은 없다. 국내 방역수칙을 강조하는 것만큼 공항·항만 검역 관리에 치밀해야 한다. 섣부른 낙관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만반의 대책을 세워야 2차 대유행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