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고 있지만 추석이 일주일 남았다. 매년 우리민족 최대명절인 추석이 되면 휴일이 시작하는 날부터 고속도로가 정체를 이룰 정도로 좁은 한반도에서 민족 대이동이 이루어진다. 물론 올해 추석명절은 대 이동을 자제해야 한다는 코로나19 방역당국의 권고가 있어 예전처럼 대 이동이 이루어질지 지켜 볼 수 밖에 없다.
추석등 명절이 되면 성장기의 아이들은 매우 들떠 있는 명절분위기를 내세우게 된다. 1년에 몇 번 볼까 말까 하는 친지를 찾아보는 명절이긴 하지만 추석은 우리민족이 가지는 고유한 전통의 문화일수도 있기에 매우 기다려지는 날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추석명절을 맞이해서 거의 잔치상 같은 분위기가 있게 된다. 지방에 있는 부모님을 찾아뵙고자 하는 자녀들의 효심은 원거리 이동에 따른 고생도 마다하지 않고 찾아뵙는 풍습은 바로 우리사회의 자랑거리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와중에도 빈자리는 있다. 소외되고 어려운 이웃이라는 이름으로 된 노숙자들을 비롯하여 빈곤층의 추석명절나기는 사실상 고통에 가까울 수 있다. 다 우리의 이웃이면서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구성원들인데 어짜다보니 어려움에 처해 명절에 대한 의미도 되새기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부분의 우리사회 구성원들이 가족이 있고 인생의 줄기에 따라 찾아뵈는 분들이 있지만 홀로 되신분들이나 요양원에 맡겨진 홀로된분들을 비롯하여 저임금 노동자들이나 코로나19로 인하여 거의 경제생활이 파탄지경에 이른 분들이 부지기수이다.
다행히 정부에서는 4차 추경예산을 통해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등에 대한 약간의 자금지원과 자녀 돌봄에 따른 지원책이 논의되어 추석이전에 지급한다고하니 지켜볼 노릇이다. 이러한분들 이외에도 돌봄이 필요한 소외된 이웃들이 주변에 있지 않는가 찾아보는 것이 공적부조의 일환이 될 것이다.
꼭 사회복지사등을 연계하는 공무원들뿐 아니라 우리사회에서 어느정도 경제적 가치가 있는 구성원들이 조금은 어려운 이웃을 찾아보는 것도 보람있는 행위의 일선에 해당하는 것일 것이다.
옛말에 가난은 나라도 구제를 못한다는 말이 있다. 맞는 말이긴 하다. 하지만 우리는 최소한의 사회적 공동체를 통해 명절등에서 만큼은 소외되는 이웃이 없도록 하였으면 한다.
특히 전북도는 예로부터 인심이 박하지 않고 이웃에게 베푸는 정이 따뜻한 지역이기에 지역사회 구성원들간의 사랑과 나눔을 경험해 볼 것이다. 이번 추석명절은 코로나19로 인하여 가급적 매인접촉을 기피해야 할 처지이지만 이웃이 그리운 분들께 따뜻한 말한마디가 진정한 위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평상시에도 매우 외롭고 소외된 이웃인데 명절 때는 하물며 더욱더 그리움이 쌓일 것이다. 올해 추석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가까운 친지뿐 아니라 내 이웃과도 함께 나눔을 실천하는 선행의 발길이 이어졌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