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통합예비군대대는 예정대로 이전해야 한다

전주시가 국가사업으로 추진 중인 예비군훈련장의 통합예비군대대 도도동 이전에 관해서 전주시 맑은물사업본부와 농업 관련 산하기관들을 옮기는 사업을 펼쳐 전주시의회에 용역비 1억5천만 원을 세워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예비군대대의 이전은 송천동에 있었던 35사단의 임실 이전과 함께 도심에 자리를 잡은 훈련장을 전주시 외곽으로 옮기는 사업이다. 전주시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예비군들이 현대화된 훈련장에서 효율적인 국토방위를 위한 훈련을 받는 곳이다.

사실 이번 이전은 전주시에서 국가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면서 전주시 주변 지자체와도 연동할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전주뿐만 아니라 익산과 완주군등 필요에 따라서는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여력이 되는 곳이다.

그런데 최근 익산시와 김제시에서 단체장들이 통합예비군대대 전주시 덕진구 도도동 이전 부지 전면 재검토 요구를 했다. 이는 국가의 효율적인 국방사업 자체를 백지화하자는 부당한 주장인 만큼 소지역이기주의식 발상으로 전주시에 대한 내정의 행정간섭이라는 말이 나올 지경이다.

지난 5일 국방부와 이곳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약 10여 년 동안 군 작전 및 주변 환경문제를 집중 검토한 결과 현행 부지가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그리고 전주시 덕진구 도도동 통합예비군대대 이전 지역으로 확정된 것은 지난 2018년 하반기에 각종 토론과 해당 지역주민을 비롯한 여론 수렴을 거쳐 전주시의회를 통과해 지금에 이르렀다.

또한 전주시와 완주군을 비롯하여 익산시와 군산시 등을 하나로 묶은 통합예비군대대 이전 사업은 이달 현재까지 인허가 등의 절차를 걸쳐 60% 이상 설계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몇몇 단체장들의 주장으로 인해 전북 북부권 해당 주역 주민 및 전주시민들의 반발이 거센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적인 입지선정으로 보면 도도동으로 위치가 선정된 배경에는 완주군과 익산시 및 군산시와 전주시 예비군들의 접근성을 고려했다. 그리고 국방개혁 2030에 따라 김제시와 익산시 및 완주군의 경우 기존 예비군대대 사격장·훈련장이 해체되면서 해당 지자체 주민들의 민원이 해소되고 이에 따른 개발 가능성과 함께 생활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지금 익산시 등 자치단체 예비군대대 사격훈련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격 연습이 사라지고 그동안 발생해온 소음 등 환경문제가 말끔히 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혹시라도 있을지 모르는 전주 통합예비군대대 사격장의 경우 실내방음사격시설로 설계된 가운데 이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문제로 인한 가축·생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리는 전북지역에서 지역 간의 분쟁이나 다툼을 원하지 않는다. 다만 조정이 필요할지라도 해당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사업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지역주민들의 생각이라고 하면 좀 더 자제할 필요가 있다.
다시 한번 밝히지만, 통합예비군대대는 예정대로 이전해야 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