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북도가 농림축산식품부의 ‘2021년 농촌인력지원사업’에 전국 최다인 26개소가 선정되었는데 예산으로 볼 때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국비 10억4,000만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농촌인력지원사업은 농업 분야에 특화된 인력수급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 계절성에 따른 농촌 일손 부족 문제를 완화 및 해소하기 위해 농촌인력 중개센터를 설치해 농가와 구직자간 인력 중개 등을 하는 사업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금년말까지 농협중앙회와 함께 국가사업으로 추진하던 체계를 내년부터는 지자체 중심 사업으로 개편하면서 지난 9월에 사업 신청을 제출받아 최근 최종 사업자를 선정했던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농촌인력 중개센터를 운영하고자 하는 지자체와 농협, 그리고 농업회의소 등이 신청을 하면 광역자치단체인 각 도에서 신청자의 사업계획서를 검토해 인력 필요 품목의 경지면적, 인력수요 등을 검토해 우선순위를 정해 농림축산식품부에 추천한다.
결국, 최종적으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사업계획 및 추진체계, 인력모집계획, 사업 지속성 등을 심사해 최근에 대상지를 최종 확정했다.
사실 내년도 농촌인력지원사업에 선정된 13개 시군, 26개소에는 개소당 8,000만원으로 국비 4,000만원, 지방비 4,000만원의 사업비가 지급된다. 사업예산은 농촌인력 중개센터 운영을 위한 전담인력 인건비와 농작업자의 교통비, 숙박비, 영농작업반장 수당등의 경상적 경비로 사용될 예정이다.
전북도는 내년에 농촌고용인력지원사업 최다 선정은 전북도가 코로나19에 따른 농촌인력 수급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역점 과제로 설정하고 발 빠르고 선제적으로 추진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는 평가이다.
농촌의 농번기 일손이 부족한 농가에 적기에 인력을 공급함으로써 제때 농작물의 재배 및 수확을 할 수 있게 해 농업인의 안정적인 소득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센터 운영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논리이다.
전북의 농업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농촌인력이 대다수를 차지했던 예전에 비하면 인력자원의 감소세가 뚜렷하지만, 아직도 전북도는 농촌 들녘을 대변할 수 있고 우리나라 국토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을 볼 수 있는 농촌 들녘의 지역이다.
하지만 현대사회로 진입하면서 농촌인력 감소와 농업생산성에 비례하여 농촌인력이 부족하다보니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때에 이번에 농촌인력지원사업에 최다 선정된 전북도는 많은 계획이 있을 것으로 본다.
농도를 기반으로 했던 전북도가 산업화에서 소외되었던 농촌지역에 집중적인 인력지원을 하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제 전북도는 새로운 계획이 아니라 창의적인 계획을 세워 지원사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이제 2021년 농촌인력지원사업을 지켜보면서 효율적인 예산의 사용에 따라 일취월장하는 전북도에 기대하는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