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금 접수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에 대한 지원을 위해 정부의 4차 추경으로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현장 접수가 오는 30일로 마감된다.
 

이번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은 코로나19로 실직과 휴·폐업 등 소득이 25% 이상 감소했지만 다른 코로나19 피해 지원 프로그램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을 위한 사업이다.
 

이에 대한 대상가구는 소득기준으로 중위소득 75% 이하이면서 재산은 3억5천만원(농어촌 3억원) 이하이고 근로자(사업자)소득이 25% 이상 감소된 가구이다.
 

여기에 지원되는 금액은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 가구 80만원, 4인 이상 가구 100만원이다. 다만 기초생계급여 및 긴급복지와 소상공인새희망자금 및 폐업점포재도전장려금 등 다른 코로나19 피해지원 대상자는 제외했다.
 

정부가 긴급생계지원금의 접수를 요일제로 운영하도록 했으나 전북도는 도민들의 편의를 위해 요일제를 적용하지 않고 월~금까지 대상자면 누구나 접수 가능하도록 했다.
 

지원신청은 복지로(http://bokjiro.go.kr)를 통해서 매일 24시간 신청할 수 있다.이에 대해 전북도는 해당 가구의 소득·재산 및 소득 감소 여부와 다른 코로나19 피해 지원 프로그램 중복 여부 등을 조사한 뒤 11∼12월에 1회에 한해 지급된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세계적 유행으로 곤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과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긴급지원금을 몇 차례 진행하였다. 사실상 경제활동 중 자영업을 비롯한 소상공인 체계가 무너지면서 일상의 경제생활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전주시와 기타 시군을 포함한 전북도 지자체들은 앞다투어 관련 예산을 마련하고 긴급지원을 위해 많은 자금을 투입했다. 대부분 지역주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했고 이번에 정부의 4차 추경으로 인해 다시 한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기가구에 대한 지원이 있게 되었다.
 

사실, 코로나19의 어려움으로 인한 생계 곤란의 위기가구에 대한 것은 곡 코로나19만이 아니다. 코로나19 이전에도 생활 주변에 많은 어려운 가구원들이 쪽방에서 생활하거나 사회단체 지원금 그리고 노령연금이나 주민자치센터의 사회복지사를 통해 연명하는 등 어려운 가구 등이 아직도 우리 사회에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최근에도 생활고에 시달리던 사람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을 보면서 우리 사회의 매정함이 보이기도 했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빈부격차는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몰린 위기가구 등을 보았다.
 

이제 전북도민 역시 정부에서 추진하는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에 관하여 빠짐없이 신청해야 한다. 혹시 알림 서비스가 늦어지고 정보에 둔갑한 주변의 이웃들이 있을 때 먼저 알고 있는 사람들이 정확한 내용을 인지하여 신청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한다.
 

이미 핸드폰 문자로 안내하였다고 하지만 핸드폰 자체도 없는 사람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보이는 곳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웃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함께 공동선을 추구했으면 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