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현대화 시기에 민주화의 물결이 도도하게 요구되던 시점에 6.10항쟁이 있었다. 군부독재 시절의 서슬 퍼렇던 시절에 당시 대학생을 비롯한 다수의 민중이 군사정권에 항거하여 일어난 일이다.
이 일로 인하여 군사정권인 5공화국은 6.17선언으로 전환기를 맞이했고 대한민국의 국민은 민주주의의 승리로 환호했다. 하지만 이러한 6.10 항쟁이 있기까지에는 국민들의 희생이 있었고 집권자들은 역사 속의 한 획으로 사라져갔다.
그렇지만 역사는 반복되는 것일까? 국민의 민주주의를 바라보는 눈높이는 높아졌지만,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일명 정치인들의 눈높이는 그때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다. 정당 간의 진영논리로 국민을 편 갈라 치기 하는 정치의 수사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
사실 민주주의라는 역사적 사실을 보면 우리나라는 민주주의 본산이라고 할 수 있는 서유럽의 오랜 시절보다 아주 빠르게 진행됐다. 그것이 바로 현대의 각종 산업화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정치인들은 지금도 물리적인 억압이나 탄압 그리고 자의적인 해석 때문에 국민을 지배하려고 한다. 그때나 지금이나 무려 35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변한 것이 무색하다는 것이다.
국민의 생각은 일취월장했지만 아직도 정치집단들은 이전투구와 되어 있기에 정치권의 정권교체가 되어도 보수와 진보라는 이념적 타이틀만 바뀌었지 35년 전의 6.10항쟁의 의미가 별생각 없이 지나친다는 것이다.
당시를 되돌아보면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군부정권은 평화적 정권교체란 명분을 앞세워 국민의 여망이던 직선제 개헌하지 않겠다는 이른바 4·13 호헌 조치를 선언하였다.
4·13 호헌 조치 뒤에 민주화를 바라는 국민 대중의 결의는 더욱더 강해졌고 각계각층에서 호헌 철폐를 요구하는 시국 성명을 내고 각계와 각 지역을 대표한 2,200여 명의 발기인이 참가하여 '민주 헌법 쟁취 국민운동본부'를 만들었다. 당시 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 고문 살인을 규탄하고 호헌 철폐를 요구하는 국민 대회를 6월 10일 대규모로 실시하기로 했다.
이날인 6월 10일은 당시 집권당인 민정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가 열리기로 예정되어 있던 날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6월 5일 국민운동본부는 국민대회 행동 요강을 발표하였다.
이런 움직임에 당황한 정부는 6·10 국민 대회를 불법 집회로 규정하고 경찰력을 총동원하여 이를 원천 봉쇄한다는 방침을 세워 놓았다. 이에 따라 6월 7일부터 주요 대도시에서 검문 · 검색이 강화되었으며 인쇄소 등에 대한 경찰의 경계와 수색도 심해졌다.
또한 전국 경찰에 갑호 비상을 발령하는 한편 버스와 택시회사에 경음기를 떼어내고 교대 시간도 바꾸도록 종용하였다. 심지어 행인들의 애국가 합창을 막기 위해 오후 6시에 시행하던 애국가 옥외 방송도 금지하였다.
결국 6.10 항쟁은 국민의 승리로 끝났다. 당시에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정치인들은 알아야 한다. 국민을 위한다고 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자신들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국민의 의사에 반하는 것을 했을 때 일어난 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