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우범기 전주시장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야심 차게 경제 관련 정책을 발표했다. 그것은 바로 전주시에 일자리 5만개를 가질 수 있는 기업 4백65개의 유치를 밝혔다는 것이다.
보도로는 우범기 전주시장이 민선 8기 출범 1주년을 맞아 전주 경제의 판을 바꿔 청년이 찾아오고 미래 신산업이 역동하는 강한 도시로 만들기 위한 ‘전주시 경제산업 비전 2030’을 내놓았다.
청년 경제 정책과 함께 지역사회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전주시의 경제 규모를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30년까지 7년간 3조4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경제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하고 미래 신산업 발굴 및 기업 유치 4백65개와 혁신 창업 1천6백25개를 목표로 전주 경제의 규모를 키워 동아시아 경제산업 중심도시로 도약을 이뤄내는 것이 핵심이다.
물론 2030년이면 자신이 계속해서 전주시장에 재임할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이러한 광대한 계획을 발표한 것이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지난 5일 전주첨단벤처단지 혁신창업허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선 8기 전주시는 전주 대변혁이라는 큰 과제를 안고 전주 미래 천년을 위해 크고 단단한 집을 짓겠다는 일념 하나로 달려왔다”라면서 “전주 대변혁을 위해서는 전주 경제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주 경제의 판을 바꾸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주제어로 ‘전주 경제의 판을 확! 바꾸겠습니다!’를 비전으로 청년이 머물고 미래 신산업이 역동하는 강한 전주를 만들기 위한 도시·산업·경제의 3대 핵심 전략과 11개 정책과제 중심의 ‘경제산업 2030 비전’을 제시했다.
핵심적인 3대 전략은 바로 도시의 틀을 바꾸는 활기찬 전주, 전주의 미래를 앞당길 산업의 판, 경제의 꽃을 피워 시민이 행복한 도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가 표현한 말의 핵심으로만 보면 지금까지의 전주시라는 지역공동체에 획기적인 도시발전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유휴부지 민간투자와 새로운 산업단지 조성 및 노후 산단 재생 그리고 권역별 특화산업과 함께 주력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발굴, 기업 유치, 창업도 시, 청년 전주, 인재 양성&일자리, 소상공인&전통시장 등을 위한 11개 정책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위에 열거한 사항은 모두 지역발전의 모체를 이룰 수 있는 획기적인 것으로 위 내용이 성공적으로 확립된다면 이제 전주시는 아마 우리나라의 기초 지자체 중 가장 으뜸으로 도약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가 주장한 ‘전주가 전라도의 수도’가 빈말이 아닐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화려한 정책 비전이 말로만 주장하는 반짝 이벤트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취임 후 경제발전을 통한 지역사회 공동체에 몰두해 온 이상 이러한 비전 전략이 시차별로 열매를 맺을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 주어야 한다. 선출직 지자체의 장 또한 정치적인 입지가 매우 강하므로 기존 정치인들처럼 공약성 빈발이 아닌 실천적 과제를 지낸 전주시에 대한 정책이길 믿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