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내년 총선에 대한 전북지역 국회 의석수

내년 4월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획정에 관하여 논의가 한창 중이다. 여기에 여야가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 문제를 8월 말까지는 마무리 짓겠다고 밝힌 가운데 전북은 현행 지역구 10석을 지켜낼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인구 상한선 등으로 분류하면서 이합집산의 선거구 획정으로 인해 전북지역의 국회의원 수가 줄어들 전망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취임 1주년 간담회에서 “선거제도 협상을 이달 15일까지 마치고 늦어도 내달 말까지 선거법 개정과 선거구 획정을 끝내겠다”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여야는 지난 3일 총선 선거제도 개편 협의를 위해 양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정개특위 간사로 이뤄진 ‘2+2 협의체’를 발족했으며 김 의장은 여야 협상이 끝나면 오는 17일 협상 결과를 정치개혁특별위원회로 이관하고 본회의 의결 절차를 밟기로 했다.

그런데 여기에서 가장 큰 관심은 김진표 국회의장이 비례대표 확대 의지가 강하다는 것으로 3백석 의원정수를 유지하면서 비례를 늘리면 지역구 의석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데 그럴 때 인구가 적은 전북이 타깃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대는 정가에서 비례대표를 축소한다고 했지만 도리어 이를 늘려야 한다고 하는 것을 보면 역시 300명의 국회의원 수에서 지역구 선출 의원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그렇게 하다 보니 전북은 현재의 10석 유지가 목표지만 지역 정가에서는 의석수가 8~9석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재 300석 의원 정수를 유지하고 지역구 250석, 비례 50석으로 배정할 경우 인구 상한 기준이 대폭 상승하면서 전북은 2석이 감소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기 때문이다.

만약 인구 상한 기준이 상승하면 가장 타격을 받는 전북 내 지역은 익산이다. 익산은 갑, 을 지역구를 조정해 2석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선거구 획정에서 지역구 의석을 줄이고 비례를 늘린다면 익산은 1석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돌이켜 보면 지난 21대 총선 때 하한 인구수 13만5521명, 상한 인구수 27만1042명을 기준으로 전북 의석수가 8석으로 축소된다고 가정하면 전주는 3석, 익산은 1석, 군산시도 역시 1석, 김제∙부안∙고창 1석, 정읍∙임실∙순창∙남원 1석, 완주∙진안∙무주∙장수 1석이 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의 흐름을 볼 때 전북은 9석은커녕 8석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 전북지역 국회의원 수가 줄어들게 되면 지역발전에 대한 역량이 대폭 줄어들게 될 것이다. 여기에다 정치적 흐름이 변동되면서 전북지역의 불이익이 예상될 수 있다.

해마다 우리나라 인구수가 절벽을 맞이하면서 어려운 상황이지만 여기에다 국회의 비례 의원 수를 늘려야 한다고 하니 역시 인구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전북지역은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어떻게 해서라도 전북의 선거구 획정에 대하여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 전북지역 정치인들이 역량을 모아 현 선거구를 지켜내야 한다는 신념이 있어야 하고 이에 따른 대안 제시도 있어야 할 것이다. 전북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대한 염려와 기대가 교차할 때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