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정치 현실이 매우 복잡하면서도 각 정당의 계파가 난무하고 진영논리가 워낙 강하다 보니 내년 4월 총선에 대한 말들이 회자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의 경우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 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서 내년 총선에 대한 찬성입장을 밝혔던 의원들의 공천 여부가 매우 관심거리가 되었다.
무기명 비밀투표이기에 정확한 비명계 가결 찬성에 대한 의원들을 가려낼 수도 없지만 그래도 대략 비명계 의원이라고 생각할 수는 있기에 내년 총선에서 이들의 입지가 어떻게 될지 매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의 화합 차원에서 묻고 지나갈 수 있으나 계파 간의 갈등이 첨예하다 보니 직접적으로 갈등을 유발하는 발언들이 공개적으로 나오고 있다.
여기에서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 동의안에 ‘찬성·기권·무효표’를 던진 40여 명의 민주당 소속 비명계 의원들이 차기 총선에서 공천을 받을 수 있을지가 관심사인 것이다.
당시의 투표 성향을 분석해 보면 이 대표의 체포 동의안이 민주당 소속 의원 30여 명이 찬성표를 던지고 10여 명이 기권 또는 무효표를 던진 사실이 드러나면서 친이재명 대표계의 지도부 및 의원들과 속칭 개딸들이 숙청까지 운운하면서 구체화한 것이다.
특히 이 대표 체포 동의안의 가결 직후에 열린 당 최고위원회에서 지도부가 의원들에게 당론은 아니지만 부결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결표를 던졌다면서 해당 행위로 규정한 것이 결정적일 수 있다.
당시 민주당 최고위는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민주당은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 중앙위원 규탄대회에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를 부당한 정치 탄압으로 규정했다”며 “오늘 이 대표 체포동의안에 대한 본회의 가결 투표는 명백한 해당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 지도부는 비명계의 원내대표였던 박광온 원내대표를 사퇴시키고 친명계의 홍익표 의원을 새로운 원내대표로 선출하는 등 당 지도부를 교체했다.
그리고 친명계 좌장격인 정청래 최고위원은 잇따라 부결표를 던지지 않은 비명계 의원 40여명에 대해 징계를 거론하면서 공천 배제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완전하게 투명하지도 않은 무기명 비밀투표에 대하여 민주적 원칙을 무시하는 민주당의 태도는 옳지 못하다. 또한 이재명 대표 본인이 국회의 가결에 대하여 수용하겠다는 입장이었기에 그렇다.
제1야당의 대표가 구속수사의 입장인지는 이후 구속영장 청구 심사에서 기각되어 더욱 이 문제가 불거졌는데 사실상 진영논리에 따라서 입장문이 달라지곤 했다.
법무부장관은 죄가 없으면 구속영장이 기각될 것이라고 했다가 기각되자 구속이 기각되었다고 해서 죄가 없는 것은 아니다 라고 말을 바꿨다. 민주주의의 가장 큰 사항인 무죄 추정의 원칙을 부정하는 불안한 발언들이 난무하고 있다.
여기에 동조하는 같은 당인 민주당 비명계의 태세 전환이 어떨지도 관심거리다. 한편 비공식 비명계에는 도내 8명의 의원 중 군산 신영대 의원이 유일한 가운데 전북 출신 수도권 의원 중에는 홍영표, 강병원, 김철민, 박용진, 양기대, 윤영찬 의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