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고 있지만 내년 1월 18일에 전북특별자치도가 공식 출범한다. 그런데 아직도 이러한 전북의 특별자치에 관한 사항을 모르는 도민들이 있다. 따라서 출범을 앞둔 가운데 ‘전북특별자치도’ 알리기에 전북도의 발걸음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 8월 31일 남원시를 시작으로 10일 완주군까지 14개 시·군을 찾아가 공무원과 도-시·군의원, 지역 직능사회단체장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했다.
사실 이번 설명회는 14개 시·군 공직자 및 도민과의 현장 소통을 통해 전북특별자치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는데 설명회에서는 지난 8월 30일에 발의된 전북특별법 개정법안 설명을 비롯해 공직자의 역할, 그간 추진 상황과 향후 일정을 공유했다.
세부적으로는 총 2백32개 조문으로 이뤄진 전북특별법 전부개정안에 대한 법안 체계와 분야별 주요 특례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해당 시군과 연계된 특례 조항을 안내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져 특별자치도에 관한 관심과 기대감 등을 높이기도 했다.
더구나 전북도민들은 농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농생명 지구 내 농지 활용 특례’, 국가 차원의 케이 문화산업 육성을 선도할 ‘케이팝 국제학교 설립 특례’에 대하여 설명회를 갖고 있다.
또한 전북의 우수한 산림자원을 활용해 글로벌 친환경 산악관광지로 조성할 수 있는 ‘친환경 산악관광 특구 지정·육성 특례’, 도내 소재 학교 및 공공 급식 기관의 급식재료로 전북산 농산물을 우선 구매하는 ‘학교·공공 급식 등 지역산 농산물 공급 특례’, 지역 여건에 맞는 개발·보전 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환경영향평가 권한이양에 관한 특례’ 등에 많은 관심과 질문이 이어졌다.
이번에 공직자 설명회 이후에는 ‘소관 업무 부서장과의 간담회’를 개최해 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달라지는 각종 자치법규 정비와 행정 정비 사항을 안내하고 출범 전까지 완료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이제 전북은 특별자치도를 기반으로 글로벌 생명 경제도시를 통해 미래를 위한 원년으로 재출발하게 된다. 이것은 곧 전북지역이 미래세대를 위해 경제를 비롯하여 각종 필요에 의한 수요공급의 원칙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 전북이 중앙정부로부터 정권 차원의 견제를 받는 것처럼 보여진다. 내년도 새만금 SOC 예산이 대폭 삭감되어 전북 정치권 인사들이 삭발을 하는 등 중앙정부에 항의하고 있지만 아직 긍정적인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그것도 지난 세계젬버리대회에 대한 부실한 운영에 대하여 여론을 등에 업고, 마치 무슨 일이라도 일어날 것처럼 했지만 이 여론 또한 금세 잔잔해지고 있다. 결국은 정책의 부재와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방정부에 미루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된다.
여기에 내년에 갓 출범하는 전북특별자치도에 대한 의미를 축소하게 하는 것이 되어 전북의 각 지자체와 사회단체 및 현안을 가지 모든 기관과 단체들은 특별자치도에 걸맞은 준비와 태세를 완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