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고 있지만 전주시는 주변의 자연환경과 연계할 수 있는 마땅한 지역이 별로 없다. 그리고 마을 단위의 지역에 인공적으로 가미한 공원등의 공간만 있을 따름이다.
이제 전주시는 ‘농업기반시설의 안전성 개선과 아중호수 등 저수지 관광사업 추진을 위한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지난 1일 체결하여 아중호수 관광명소화 사업 청신호가 커졌다. 이날 협약식 자리에는 우범기 전주시장, 이정문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장 및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했으며 아중호수 관광자원 개발 활성화 위한 협력에 힘을 모았다.
이 협약에 따라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아중호수와 기지제 등 저수지 활용 관광사업 개발에 전주시가 참여하는 본격적인 불이 붙을 전망이다. 이와같은 사실은 민선8기 아중호수 관광명소 개발 활성화 추진에는 우 시장 그만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그간 한국농어촌공사와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지난 10월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사장과 이정문 전북지역본부장과의 간담회 자리를 마련해 전주지역 현안 해결 협조를 구하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날 협약에 따라 전주지역 농업기반시설 안전성 개선에 각각 10억씩 5년간 총 1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따라서 지역 농업인의 영농편익 증진을 위해 노후화된 교량·농로·수로 등 농업기반시설 보수와 가드레일과 난간 등의 안전대책시설도 새롭게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전주시와 한국농어촌공사는 도심 속 수변공원으로 자리매김한 덕진구 만성동 일원 기지제·백석제 등 수질환경 정비와 농업기반시설 활용 관광산업 발전에까지 시민들에게 더욱 쾌적한 친수공간을 제공하는 데 적극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사실 ‘아중호수 관광명소화 사업’은 전주에서 1박 이상 머물며 즐길 수 있는 체류형 관광도시로 만들기 위한 핵심사업이다. 이것은 지역 고유의 문화·역사·예술을 입혀 전주관광 외연 확장으로 아중호수를 재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전주시 농업생산기반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 영농 편익을 증진시키고 관광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결국 지역발전을 위해 전주시와의 상호 협력관계를 긴밀히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이번 협약으로 인해 전주시 농업경쟁력 강화와 농업인 안전을 유지하고 수자원을 활용한 지역 관광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북지역내 타 시군과 비교하여 중규모의 도시로 전주시가 성장했지만 도심권의 위상으로만 나타났었기에 반드시 필요한 관광인프라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 이러한 결과에 의해 전주시도 도심속 공원으로 외지인 관광객이 아중호수를 통해 1박 이상의 휴식처로 각광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또한 전주시민 역시 전주를 제외한 다른지역으로 나들이를 가면서 아쉬움을 달랬던 사항들이 전주아중호수 관광단지 개발을 따른 기대 효과에 만족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전주의 한옥마을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평가받고 있지만 일단 지역이 좁고 각종 편의시설과 숙박시설등 한옥마을의 체험형 체류관광지의 문화콘덴츠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기에 이번 협약을 토대로 좀 더 세밀한 계획으로 차세대의 전주시에 대한 발전 역량이 거듭될 것으로 여겨진다.
결국 전주시민과 외지 관광객들은 이번 아중호수 등 저수지 관광사업 추진을 위한 상생발전 업무협약에 대한 기대감이 클 수밖에 없으니 전주시등은 기대에 알맞은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