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10일 국회의원 총선거에 입후보할 예비후보자가 대략 전북지역에만 23명 정도가 되었다. 전북은 민주당의 아성 지역이라고 여겨지고 있지만 현재의 구도는 그렇지 않다. 무소속으로 당선된 남원 관련 지역구 이용호 의원이 국힘당 소속이다.
물론 내년 총선에서는 수도권으로 지역구를 옮긴다고 하지만 아무튼 현재는 전북지역에서 지역구로는 유일하다. 그리고 국힘당의 비례 의원으로 전주 출신의 정운천 의원이 있으며 전주 을구에서는 지난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진보당의 강성희 의원이 있다.
이처럼 더불어민주당 세력으로만 깃발만 꽂으면 당선된다는 보장은 없다. 그리고 전북지역이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아마 1석이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있는데 이 또한 전북지역의 정가를 흔들 수밖에 없다.
이렇게 다양하게 엮어진 전북지역은 내년도 총선에 나오겠다고 한 정치인과 지망자들이 23명 정도로 예비후보로 등록하여 활동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삼권분립에서 행정부의 수장인 대통령의 권력에 못지않게 국회에서 국회의원이라는 선출직 권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입법뿐만 아니라 국가 예산 등에 대한 각종 심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고 나름대로 각종 현안에 대한 의결권과 법률로 행해지는 탄핵소추권 등 다양한 정치적 권력을 가진 집단속에 소속된 국회의원이기에 그들의 행태는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정치에서는 여야를 구분하면서 대립과 갈등을 일으키고 있지만 지역 현안에 대해서는 그래도 뜻이 맞는 모양이다. 지난 20일 국회에서 내년도 국가 예산 의결 때 새만금 관련 예산이 그래도 3,000억 원 정도 증액이 되는 것에는 전북 출신 여야 국회의원의 갈등은 전혀 보이질 않았다.
이렇게 지역사회의 발전과 미래 전략에 대해서는 여야 구분 없이 죽이 잘 맞는 것 같은데 정치적인 사안에 이르다 보면 첨예한 갈등으로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 듯한 경우가 많으니 전북 출신 국회의원들의 향배가 매우 염려스러울 따름이다.
그래서 이번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23명의 면면이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어차피 전북 지역구 소속의 현역 국회의원들은 다시 한번 당 공천을 받기 위해 지역주민보다는 해당 정당 지도부와 함께 경선을 준비해야 하니 이때쯤이면 그동안 고개를 숙인 적이 없는 현역 국회의원들도 지역주민들 앞에서는 당연하게 고개가 숙여 질 수밖에 없다.
전개될 전망을 보면 23명의 예비후보보다는 더 많은 예비후보자가 아마 등록할 것이다. 시간이 갈수록 이제는 예비후보라기보다는 본선 경쟁력에 대한 후보가 되기 위하여 공천 경쟁을 치열하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시기에 전북도민들은 진정으로 국가는 물론이고 지역사회를 발전할 수 있는 동력의 후보를 경선으로 선출해야 한다. 현역 국회의원이라는 프리미엄을 없애고 정정당당하게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에게 우선적인 당내 경선에서의 의미를 예비후보자 중 정당 소속인들은 알아야 한다.
각 정당은 이제 곧 총선 체제로 돌입할 것이다. 여당은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을 선출하지 않은 추대 형식의 비정상적인 비대위원장으로 해서 국민에게 읍소할 것이고 야당인 민주당과 다른 정당은 아직 총선 체제에 대한 소식은 없다.
전북도민들 역시 이번 총선에 대비하여 진정으로 국가와 민족 그리고 지역사회를 위해서 일할 수 있는 참 일꾼을 선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