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새만금기본계획 빅픽처

다시 새만금에 주목한다.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을 위한 대규모 전문용역을 이달 중 발주하는 등 재수립 작업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예산이 예년에 비해 많이 삭감되었지만 국책사업으로 재 시동을 거는 일이다.

새만금개발청이 올해부터 2025년까지 2년 간 총 30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함에 따라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을 위한 학술‧기술 분야를 구분, 전문용역을 조속히 발주할 계획이다.

사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기업하기 좋은 새만금을 만들기 위해 기업수요에 맞는 전폭적이고 즉각적인 지원이 이뤄짐에 따라 민간 투자가 급증해 지난해 10조라는 역대 최고 민간 투자 실적을 달성했다.

이러한 성과는 국정과제인 국제투자진흥지구 도입 및 인프라 조성,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급증하는 투자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산업단지 3·7공구 조기 매립 착공, 용·폐수 공동관로 구축 등 전폭적이고 즉각적인 추가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분야의 성공을 새만금 전체로 확산하고 새만금을 첨단전략산업의 선도자로 조성해 기업투자가 본격화되는 새만금 2.0시대를 선도하는 새로운 기본계획 재수립이 필요하다.

사실 새만금 기본계획은 새만금 사업의 추진을 위한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새만금 장래의 수요예측을 토대로 수립하는 장기 종합계획이다. 미래의 전북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새로운 역사를 열 사업의 중심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선 이번 기본계획의 핵심 키워드는 ‘기업’이다. 이를 두고 산업 용지 대폭 확대 등 기업 친화적인 공간계획과 토지이용계획을 구상하는 등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기본계획을 재수립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이 산업·에너지·환경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해 깊이 있는 검토가 요구되는 만큼 새만금 발전을 위한 추진 과제를 도출하고 폭넓은 전문적 검토를 위해 작년 10월부터 사전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전문가 자문단은 총 9개 분야, 100여 명(분과별 10여 명 내외) 규모로 운영 중으로 자문회의를 개최해 분야별 전문가들과 새만금 사업에 대한 깊이 있는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김경안 청장이 밝힌 “입주기업지원과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업은 빨리 차질 없이 추진하면서 새만금이 글로벌 첨단산업의 퍼스트 무버로 거듭나도록 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하는 내용이 매우 중요하다.

새만금이 차지하는 각종 산업과 지역개발은 이제 전북만의 사항이 아닌 한반도 전체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조성되는 새로운 미래의 우리나라 전략사업의 최고지역으로 자리잡고 있을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전북도민들이 어제 18일부로 전북특별자치도로 전북지역이 확대 재생산이 된 만큼 새만금에 대하여 애정을 갖고 관심을 쏟아서 전북의 대표적인 국책사업의 성공적인 인프라 구축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