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특별자치도 선포식과 유감

한반도에서 전라도라고 하는 지명은 전주와 나주를 합하여 전라도라고 했고 다시 남북으로 분할하여 전북과 전남으로 체계를 잡았다. 사실상 조선시대말기인 1896년부터 분할된 이름으로 전라북도라는 명칭이 존재했다.

그런데 이때로부터 128년 만에 지난 18일 전북특별자치도라는 새로운 명칭을 얻어 힘찬 첫발을 내디뎠다. 전북자치도가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공식 발표하며 ‘글로벌 생명경제도시’라는 비전과 브랜드슬로건 ‘새로운 전북, 특별한 기회’를 선포했다.

그런데 지난 18일 전북자치도가 출법하는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에서 조금은 민망한 일이 벌어졌다. 윤대통령과 악수하던 전주을구 강성희 국회의원이 경호원들에게 끌려 나간 것이다.

아쉽지만 이에 대하여 지금 말이 많다. 대통령도 국가원수이지만 국회의원 역시 한사람 한사람이 입법부의 구성원인데 이렇게 국민의 대표에게 경호원들이 할 수 없는 과잉이라는 지적으로 해당 경호처장의 경질을 요구하고 있다.

사실상 전북특별자치도의 출범식에 있었던 옥의 티이며 매우 유감일 수 밖에 없다. 이번 출범식은 김관영 지사를 비롯한 지역 국회의원, 국민지원위원회, 전북애향본부, 도내·외 각 주요 인사, 도민 대표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정부에서도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남형기 국정운영실장,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 이연택 총괄위원장을 비롯한 국민지원위원회 공동위원장도 참석했다.

또한 타 시도에서는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가 참석하며 전북특별자치도의 새로운 출발에 축하 인사를 건넸다. 임상규 행정부지사는 경과보고를 통해 전북특별자치도가 출범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으며, 이후 전북특별자치도 홍보영상으로 새로운 전북특별자치도 브랜드를 소개했다.

이렇게 전북특별자치도 초대 도지사로서 임무를 시작할 김관영 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오늘 출범의 소회, 그리고 전북특별자치도의 비전,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는데  “농생명부터 문화관광, 고령친화, 미래첨단, 민생특화 산업까지 전북이 잘하는 걸 더 잘하고 새로운 것은 빠르게 수용할 준비를 마쳤다”며 “전북의 새로운 100년, 함께 도전하자”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출범 세리머니와 퍼포먼스를 통해 보는 재미도 있었는데 어린이 중창단과 대학생들의 전북특별자치도의 새로운 로고송 ‘다함께 전북’ 합창·안무 공연에 이어 전북도민 대표가 모여 특별한 복주머니 선물을 여는 퍼포먼스도 선보였다.

이날 출범식에 앞서 김관영 지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제1호 결재 안건으로 집무실에서 ‘다함께 민생 도정운영계획’을 결재했으며 첫 외부 일정으로 효자5동 주민센터를 찾아 전북특별자치도 제1호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으며 도민들에게 성공적인 행정정보시스템 정비를 알리기도 했다.

이제 전북특별자치도로의 새로운 위상이 전북도민들에게 다가서는 순간이다. 전북특별자치도의 구성원들은 이렇게 좋은 호기를 놓치지 말고 적극적으로 지역사랑을 위해 배려와 나눔 그리고 미래 전북지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잘사는 전북지역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