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식에서 벌어진 '진보당 강성희 의원의 강제 퇴장'을 놓고 전북에서도 여야의 공방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허남주 전 전주시갑 당협위원장은 22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 의원 강제 퇴장은 행사를 원활히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그는 "대통령의 손을 잡아끌고 장내가 울리도록 고성을 지른 강 의원의 행동은 행사의 성격이나 도민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자신의 사리사욕을 앞세운 처사였다"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이에 책임을 지고 대통령과 전북도민에게 사과하고 국론을 분열시킨 책임을 지고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도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폭력 사태는 강 의원뿐 아니라 국민 누구나 사지가 들려 쫓겨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상징적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민주당 전북도당은 "윤석열 대통령은 새만금 잼버리 파행, 새만금 예산 삭감에 이어 또 다시 도민에게 충격을 안겨줬다"며 "비상식적이고 폭력적인 행위에 대해 대통령이 사과하고 경호처장을 즉각 경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로 윤석열 검찰 독재 정권은 다시 한번 민낯을 드러냈다"며 "이 무도한 행태는 22대 총선에서 심판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부분의 정당이 민주당인 전북에서도 전직 및 현직 국회으로 이번 총선에 출사표를 던진 민주당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과 김성주 의원도 지난주 '의정사, 정치사에 잊지 못할 폭력 사건으로 기록될 것', '상상할 수 없는 야만'이라고 비판했다.
누구의 공방이 옳은지 다시 판단의 시험대에 올랐는데 강성희 의원은 지난 18일 전주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열린 전북자치도 출범식장에서 윤 대통령과 악수하는 과정에서 '국정 기조를 바꿔달라'고 했을 뿐인데 경호원들이 사지를 들어 자신을 끌어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하여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입장해서 참석자들과 일일이 악수를 하는 상황이었고 강 의원이 악수했을 때 소리를 지르며 대통령 손을 놓아주지 않았다"며 강 의원의 행동을 '경호상 위해 행위'로 판단해 퇴장 조치했다고 밝혔다.
얼핏보면 정치적인 공방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사실은 사소한 문제일 수도 있을 수 있었던 사항이 문제에 문제를 낳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 사회는 진영 논리에 의해 자신이 몸담고 있는 정당소속에 대하여 사실 여부를 떠나서 서로 과오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번 경우에도 국힘당이나 진보당을 포함한 야당의 입장에서도 진영논리에 따라 상대방의 실수나 내용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 기득권을 가진 입장에서는 자신의 논리가 맞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이번 사건의 경우에도 이렇게 일파만파 퍼지고 있다.
중앙정치권에서의 수많은 사건들이 회자되고 있고 하필 전북정치권에서도 전북특별자치도라는 의미의 축하할 수 있는 행사가 이렇게 다시한번 정치적인 내용으로 공방으로 치닫고 있는 것도 매우 바람직한 일이 아닐 것이다.
이제 이 사건은 차츰 사람들의 뇌리에 묻혀 갈 것이다. 전북정치권의 강성희 의원에 대한 공방은 서로 자제하면서 좀 더 바람직한 정치적인 대화와 타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