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0일 치러지는 22대 총선이 6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사정이 이런데도 여야는 아직까지 선거구 획정을 못하고 있다. 선거구 통폐합이 예상되는 지역구 예비후보들은 자신의 지역구가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깜깜이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의 국회의원 후보 공천을 위한 경선 레이스는 6일부터 본격 시작됐다. 민주당 후보자 경선이 사실상 본선의 당락을 결정짓는 전북에서는 이번 경선 결과가 관심사다. 민주당 선관위는 21일부터 23일까지 경선 재심기간을 두고 결선 투표가 필요할 경우 24일부터 이틀간 치르기로 했다. 결선 재심 기간은 25일부터 27일까지인데 경선 결과는 최고위원회 의결로 확정한다. 전북은 전략선거구 상황 등 여러 변수가 있어 다른 지역보다 후보자 윤곽이 늦어질 수 있는 가운데 이르면 21일쯤 일부 지역에서 민주당 후보가 결정 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선에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전북지역 후보자들은 지난 3일 면접을 끝내고 현재 익산갑만 결정이 난 가운데 나머지 지역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북은 아직도 10석이냐, 9석이냐를 놓고 갑론을박이다. 전북은 지역구 10석을 지키는데 사활을 걸어야 한다. 수도권을 제외하고 인구감소 현상은 어느 지역이나 똑같은데 왜 하필 전북만 1석이 줄어든 9석이 거론되는가. 정치력 경제력 등 도세가 약해서 그런가. 그렇다면 더더욱이나 좌시해서는 안된다. 정치권을 비롯한 도민 모두가 두 눈 부릅뜨고 반드시 지켜내야 한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선거구 획정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일 전체회의를 열기로 했으나 취소했다. 거대 양당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권고한 합구지역 등에 대한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선거구 획정을 위한 정개특위 회의가 미뤄지면서 법제사법위원회와 본회의 등 남은 절차도 줄줄이 연기될 전망이다. 여야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자칫 선거구 획정 마무리가 3월 초까지 갈 수도 있다. 선거구 획정의 최대 쟁점은 경기 부천시와 전북으로 좁혀지고 있다. 이들 두 지역은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해 12월 선거구 통합을 통해 각각 1석씩 감축토록 한 곳이다. 모두 더불어민주당 강세지역이다. 민주당은 부산과 서울 강남에서도 1석씩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국힘은 난색을 표한다. 전북의 경우 기존 남원·임실·순창 선거구와 김제·부안 선거구가 인구 하한선인 13만6600명에 미치지 못한다. 이를 빌미로 선거구획정위원회가 10개 선거구를 9개로 줄이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민주당은 강력 반발했다. 대신 상대적으로 인구 규모에 여유가 있는 완주·진안·무주·장수 선거구 가운데 한 지자체가 남원·임실·순창 선거구로 이동하고 전주나 군산 일부를 떼내서 김제·부안 선거구의 인구 하한을 맞추는 방안 등 다양한 대안을 모색했으나 아직 결론을 못내고 있다. 헌법기관인 국회 의석수가 전북에서 1석 줄어든다는 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전북의 미래가 걸려있는 중차대한 문제다. 절대 양보하면 안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