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전북의 기존 남원·임실·순창 선거구와 김제·부안 선거구가 인구 하한선인 13만6천600명에 미치지 못한다는 이유로 10개 선거구를 9개로 줄이기로 결론 내고 오는 29일 국회 본회의 통과 절차를 남겨놓고 있다. 문제는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선거구획정위 안을 수용하기로 결론내고 당 대표 및 지도부와 협의했고 이를 여당에 통보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오는 29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마지막 통과 절차만 남겨 놓은 것이다. 다시말해 추가 협상의 여지 없이 전북 의석수 1석 감소는 통과 절차만 남았다는 의미다. 전북 의석수 1석 감소가 이렇게 결론나도 되는가. 참담한 심정이다. 그러나 29일까지 실낱같은 희망은 남아 있다. 앞으로 선거구획정의 마지막 시한은 어제 여야합의에 이어 오늘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이므로, 총력을 집중해 전북 의석수 10석 존치 당위성을 관철시켜야 한다. 전북 선거구 1석 감소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180만 도민의 자존심을 짓밟는 처사다. 전북지역 현역의원들이 단일대오로 합심하면 가능할 수도 있다. 사실 선거구획정위가 인구를 잣대로 획일적인 기준을 삼는 것은 지역소멸을 부추기는 행위며 정치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가속화 시킬 뿐이다. 일례로 미국 알래스카 주는 인구는 턱없이 적지만 텍사스나 캘리포니아 등 큰 도시 주처럼 2명의 상원의원을 뽑아 지역 대표성을 보장하고 있지 않는가.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해 12일 8일 지역구 253개와 지난해 1월 말 인구를 기준으로 전북의 선거구를 9개로 축소하는 내용을 포함한 전국 선거구획장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했다. 선거구획정위가 제출한 획정 안 중 전북 선거구는 △전주갑·을·병 △군산 △익산갑·을 △정읍·고창·부안·순창 △김제·완주·임실 △남원·진안·무주·장수 선거구이다. 전국적으로는 전북과 서울이 각 1개의 선거구가 줄고 인천과 경기가 각 1개의 선거구가 늘어난 것이다. 전북 국회의원들은 전북 선거구 1개 축소는 수용할 수 없다며 버텼고 그러면서 인구가 부족한 김제·부안 선거구에 군산 또는 전주의 일부 지역을 조정해 마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지도부도 이 같은 전북의 주장에 동의하며 그동안 반대 논리를 펴왔다. 하지만 민주당의 주장은 공직선거법에 따른 선거구획정 기준을 위반한 것이라며 여당이 강력히 거부해 오늘의 사태를 맞았다. 무튼 이번 사태를 계기로 농산어촌 지역의 대표성을 보장하도록 개혁하는 입법을 서둘러야 한다. 그 사례로 인구수를 따져 속초시와 철원, 화천, 양주, 인제, 고성 등 6개 시군면적은 4922㎢에 달해 서울의 8배에 달하는데도 1명을 뽑는데 반해 서울은 49명을 뽑는다. 국회의원은 스스로 일당백의 존재감 있는 의정활동을 통해 지도부에 진출해야 하고 그래야 당권과 대통령 후보까지 올라갈 수 있다. 힘 있는 정치인을 만들어 놔야 지역현안도 해결할 수 있다. 국회의원들이 개인적 이해관계를 떠나 단결한다면 실낱같은 희망은 남아 있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총력을 다해 주길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