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인재 양성은 전북의 미래다

낙후를 탈피하기 위한 좋은 방책 중 하나는 인재 양성이다. 자원이 빈약하고 경쟁에서 낙오돼 가난을 면치 못하면 국가나 지방정부는 열 일 제쳐두고 사람을 길러 이를 만회하려 노력한다. 우리나라의 지난 6, 70년대 산업화 과정이 좋은 본보기다. 전북은 산업화 과정에서 밀려 도세가 약하다. 그런 전북이 특별자치도 출범 원년을 맞아 인재 육성에 손을 걷고 나섰다.
지난해 공모사업에 선정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중심으로,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발전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데 진력하고 있다. 이 시업은 향후 5년간 국비와 지방비 2135억원을 투입해 대학과 지자체, 기업 등이 협력해 지역의 혁신을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 목적인데 대학과 연계한 지역 인재 양성, 기업과 협력하는 지역산업 발전, 기업 유치 및 일자리 창출, 지역 정주여건 개선, 지역 협력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게 된다. 그중 올해 첫 사업인 ‘JST 공유대학은 전북산학융합원과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등을 공동캠퍼스로 두고 전북대 등 도내 10개 대학을 대상으로 매년 학부 3~4학년생 270명과 대학원생 60명 등 총 330명을 육성한다. 여기에서 미래수송기기와 에너지신산업, 농생명·바이오 등 세 첨단분야의 인재들을 집중 양성한다는 것이다.
이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전북자치도는 지자체와 대학 간의 협력을 강화해 대학을 지역혁신의 중심으로 키워내야 한다. 그렇게 되어야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지역 정주 등으로 이어지는 지역 경쟁력 강화와 지역발전의 선순환 체계가 구축된다.
이미 전북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선정에 이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지역가지 선정돼 내년 2까지 지자체 주도의 대학지원 권한 확대와 규제 완화 등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이끌 권한과 책임을 갖게 됐다 RISE는 과거 중앙정부 주도로 이뤄지던 대학지원에서 지역 주도로 전환하는 사업이다. 대학지원의 행·재정 권한을 지자체로 위임·이양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대학지원 체계로, 이 시업은 올해까지 시범 운영 후 내년에는 전국으로 확대된다.
전북이 추진한 일련의 인재육성 사업들을 성공시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먼저 흩어져 있는 대학관련 업무를 정비, RISE 추진과 지역대학 지원 관련 업무를 기획·총괄하는 대학지원 전담 부서의 확대 설치가 급선무다. 그래야 대학 관련 정책수립부터 지역혁신사업(RIS), 지자체-대학 연계협력,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북은 지난해 교육부 핵심사업인 지역혁신사업(RIS), 라이즈(RISE), 글로컬대학30에 모두 선정돼 지자체-대학 동반 성장을 견인할 재정적 기반을 확보했다. 따라서 지자체와 대학이 교육을 통한 지역혁신에 힘을 모아 지역과 지역대학 전체가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전북의 집념과 노력이 지역발전의 디딤돌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