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국민 건강과 생명, 볼모로 잡지 말라

의료계의 제 밥그릇 지키기가 도를 넘고 있다.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붙잡고 벌이는 의료계의 집단 이기주의가 도민들의 마음을 몹시 불편하게 만든다. 정부가 환자 곁으로 오라고 내린 최후통첩이 내일이다. 그동안의 일은 불문에 부치겠다는 것이다. 물론 의료계는 협박이라며 강력 투쟁을 선언했지만 국민들의 여론은 차갑다 못해 얼어붙었다. 운석열 정권이 예뻐서 그러는게 아니다. ‘의사는 언제나 환자 곁에 있어야 한다는 너무나 당연한 당위 때문이다. 전북을 비롯한 전국의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정책에 반발하면서 벌인 집단행동으로 의료 공백이 장기화되고 있다. 그 피해는 당연히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돌아가고 있다. 가뜩이나 지역사회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데 얼마 되지 않는 의사들마저 의료현장을 이탈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 간 의료격차가 심해지면서 전북은 주민 의료 접근성 불편과 농촌의료공백 문제 해결이 해묵은 과제였다. 이런 상황에서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장기화될 경우 도민들이 겪을 수 밖에 없는 불편은 증폭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전북은 응급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은 노인 인구가 많다는 점에서도 우려가 크다. 전북자치도가 비상진료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상황이 악화될 경우 지방의료원과 보건소의 진료시간 확대, 공중보건의사 투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진료공백을 최소화 하겠다고는 밝혔지만 도민들은 여전히 불안하다. 이번 데드라인이다. 정부가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의 복귀 시한을 31일로 못 박은 데다 2월 말은 전임의들의 계약이 끝나는 시기여서 이들마저 빠져 나갈 경우 심각한 수준의 의료대란이 올 수 있다. 코로나19 등 바이러스 대응과 갈수록 심각해지는 지역 간 의료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해 의대 정원 확대는 불가피한 현실이 됐다. 그런데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고질적인 숙제의 해법을 놓고 갈등과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의료 공백이 계속되면서 응급실 뺑뺑이, 수술 지연 등 어이없는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고 의료 공백이 피해는 노인과 아동·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가고 된다. 지금 의료계의 집단행동은 국민 눈높이와 여론에 부응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따가운 것이다.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 지방의 경우 의료인들의 집단행동은 파장이 더 클 수밖에 없다.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히포크라테스 선서에는 의사의 희생 봉사 장인 정신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의료인에게는 당연히 환자의 건강과 생명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의료인에게 주어진 숭고한 정신과 사회적 책임을 다시한번 되새겨 보자. 전공의들은 집단행동을 멈추고 하루빨리 병원으로 복귀해 당장 경각을 다투는 중증 환자나 건강을 위협받고 있는 환자들을 돌보고 치료해야 한다. 아울러 전북자치도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의료 공백 확산 사태에 대비해 공공의료 등 비상진료체계를 다시 한번 점검해 지역사회 의료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어떤 경우에도 도민들의 건강과 생명이 위협받아 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