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선거구 10석이 우여곡절 끝에 유지됐다. 일단 한고비를 넘겼다는 점에서 전북도민들은 이번 결과를 반기고 있다. 원래 중앙선관위의 전북 선거구 9석 획정안은 정읍시·순창군·고창군·부안군, 남원시·진안군·무주군·장수군, 김제시·완주군·임실군 등 3개 선거구로 조정된 안이다. 이 안이 확정되면 기존의 선거구가 공중 분해되고 지리적 공통분모와 교통편익성, 역사문화적 동질성도 없게 돼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걱정이 컸다. 그래서 전북의 국회의원 선거구 10석은 심리적 마지노선이었다. 이것이 깨지면 도민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게 되고 전북의 존재감과 정치역량도 위축될 수 밖에 없고 후보자와 주민들의혼란도 불보듯 뻔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선거구 10석 사수는 전북 정치권에 주어진 절체절명의 과제였다. 그러나 다행히도 전북 국의원들이 배수진을 치고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한 도의회, 전북애향본부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수용불가 목소리를 낸 덕분에 중앙선관위 획정안 9석을 막아낼 수 있었다. 절박한 심정으로 일치단결해 10석을 지켜낸 국회의원과 도지사, 도의원, 시민사회단체 등의 노고에 큰 박수를 보낸다. 하지만 결과 이후 분구 또는 합구가 된 일부 지역에서 이해가 엇갈린 의원들 간 공방이 오가고 있다. ‘전북 10석 유지’라는 대명제에는 의원 모두 뜻을 모았으나 분구와 합구가 이뤄진 선거구의 이해 당사자들은 서로 유불리를 따져 논박을 벌이고 있다. 획정안에 반대와 기권을 한 군산 신영대, 김의겸 의원은 대야와 회현의 김제 부안 합구를 놓고 대립하고 있고 전주병에선 인후 1,2동의 전주갑 합구를 놓고 정동영 후보와 김성주 의원 간 논쟁이 오간다. 하지만 4년 후에 다가올 23대 총선을 생각하면 지금의 공방은 참으로 부질없다. 서로 자중하면서 다가올 다음 총선의 선거구를 미리 생각해야 한다. 이번에는 민주당과 국힘이 막판협상에서 비례대표를 1석 줄이고 지역구를 1석 늘려 254석으로 합의하는 바람에 전북 1석이 살아났는데 벌써부터 선거구 형평성 논란이 나온다. 전북의 경우 인구가 175만 명에 10석이지만 충북은 159만명, 강원은 152만명에 각각 8석에 그치고 있다. 현행대로 인구 기준을 정하면 형평선 논란에 휩싸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결국 이번 총선에 당선된 전북 국회의원들이 공직선거법 제25조에 규정하고 있는 농산어촌에 대한 지역대표성을 강화하는 법안을 발의해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 다행히도 전북 국회의원들이 선거구획정 과정에서 지역대표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공직선거법 개정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렇다면 현재의 공직선거법이 인구수를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하는데 인구수를 유권자 수로 변경하는 법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농산어촌은 아이들이 적고 고령 유권자가 많아 도시지역 선거구와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인구 기준에 따라 농산어촌의 선거구가 감소하는 상황을 미리 막고 선거구획정에 인구 및 지역대표성을 함께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다음 국회에서 치밀하게 준비해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