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약자들의 발 역할을 해 온 전북지역 시외버스들이 누적된 적자에 경영난을 호소하며 운행 중단을 예고하고 있다. 적자는 주로 도시 노선보다 농산어촌 노선에서 발생, 버스업계의 경영난을 악화시키고 있다. 중단이 현실화 되면 주로 농산어촌에 거주하는 고령자들, 이른바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제한 등 피해가 불을 보듯 뻔하다. 따라서 교통관련 당국과 버스업계는 사태가 터지기 이전에 서로 머리를 맞대고 이 문제를 전향적으로 풀어내야 한다. 단순히 수익구조에만 관심이 있는 버스업계의 입징과 벽오지 주민들의 교통복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당국의 입장은 상호 대립할 수 밖에 없는 만큼 공동체의 평화와 대의(大義)를 위해 원만한 접점을 찾아야 한다. 요즘 시외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승객은 대부분 농어촌 고령층 이거나 학생 등 일반 서민들이다. 특히 농산어촌 지역의 경우 급격한 고령화 추세로 인해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주민이 많은데 이들의 이동권을 지켜주던 시외버스 업계의 적자가 심화하면서 급기야 휴업 계획서를 내는 사태를 맞았다. 전북버스운송사업조합은 최근 오는 5월부터 일부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휴업 계획서를 전북자치도에 제출했다. 승객 감소와 운송비 증가 등으로 지난해 적자 규모가 41억에 달한 만큼 재정적 지원을 늘려달라는 것이 요지다. 휴업 대상인 적자노선은 1백52개로 전체 시외버스 노선의 30%에 달하고 있다. 대부분 타 시도를 운행하는 노선보다 도내에서 운행하는 노선이 적자가 심하다고 주장한다. 전북자치도 교통관련 부서는 일단 적자노선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어떤 경우에도 서민들이 교통 불편을 겪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중교통, 그 중에서도 시외버스는 오랫동안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다. 하지만 농어산촌 지역의 끝없는 인구소멸 현상과 자가용 보급 확대, 택시와 철도 이용객 증가 등으로 인해 일부 노선을 제외하곤 대부분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여기에다 요즘 고물가에 고환율, 고유가 등의 여파로 경제 상황이 날로 악화되면서 인건비와 관리비 등 수입은 줄어든데 반해 지출 요인은 크게 증가, 경영난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를 견디지 못한 도내 시외버스 5개 회사는 전북자치도에 누적되고 있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어 노선 76개와 차량 62대를 오는 5월부터 추가 운행 중단하겠다고 공식 통보했다. 이렇게 되면 이미 휴업 중이던 노선과 차량을 포함, 총 1백52개 노선에 차량 1백70대가 감축된다. 조합측은 달리 대안이 없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항변한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작년까지 4년 동안 수입과 지출을 계산하면 총 2백1억에 달한 적자를 기록했다고 한다. 관련당국은 이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꼼곰히 따져서 합리적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어떤 일이 있어도 고령층, 특히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이 제한되거나 박탈돼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당국과 업계는 이 문제를 농산어촌 주민들의 교통복지 차원에서 접근하기를 권고한다. 요즘 의료계 문제도 심란한데 교통대란까지 안겨서야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