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군산항에 해상풍력용 중량물 부두구축 서둘러야

지구촌의 기후위기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국가마다 친환경 재생에너지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들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제품은 수년 내로 수입을 하지 않겠다고 밝혀 한국처럼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들은 이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불가결한 현안이 되고 있다.

세상은 이렇게 돌아가는데도 정부는 여전히 원전 타령만 늘어놓는다
. 하지만 눈치 빠른 일부 지자체들은 정부 정책과는 반대로 신재생에너지에 관심을 놓치 않으면서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서해안을 끼고 있는 전북이 그중 하나인데 도내 서남권 해상풍력의 원활한 추진과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군산항의 기반시설을 활용한 해상풍력 배후 항만 거점을 조성하려는 것이다. 물론 발전시설을 직접 짓는다는 것은 아니지만 시설을 짓는데 필요한 대형 시설 등을 군산항으로 모아 각 건설 현장으로 공급하는 일은 시설 건설 못지않게 중요한 일이다. 이렇게 되면 군상항을 중심으로 연관산업이 속속 들어서고 이로 인한 지역경제 및 항만주변의 활성화가 뒤따를 것이다.


현재 고창과 부안 해역에는 총
14조가 투자되는 2.46GW 규모의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조성 중인데 이 사업권을 갖고 있는 한국해상풍력과 한국전력공사 외에 12MW 규모의 민간 발전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해 올 상반기 내에 공모 절차를 밟는다고 한다. 현재 서해안지역에는 2030년까지 군산 1.6GW, 인천 6.2GW, 충남 3.1GW, 전남 영광 1.4GW, 신안 8.2GW 등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조성될 예정인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배후항만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과제다. 최근의 해상풍력은 전 세계적으로 대형화되고 있고 주요 기자재의 경우 약 1~25백톤 정도의 초대형 규모로, 중량물 부두가 없으면 해상운송 자체가 어려워 해상풍력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할 수가 없다.

이런 이유 등으로 전북도가 배후 항만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군산항을 배후 항만으로 조성하려는 것이다. 현재 민간이 운영 중인 군산항 6부두와 7부두를 해상풍력 배후 항만으로 활용하기 위해 우선 자체적으로 지반 지내력 조사 용역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반 지내력 조사 결과는 해상풍력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배후 항만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핵심 자료로써 관심 기업의 투자유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선행조건이다. 늦어도 내년까지는 군산항 7부두에는 해상풍력 지원을 위한 중량물 야적장이 조성되는데 이곳에서 터빈, 타워, 하부구조물 등 해상풍력 주요 자재들을 조립, 보관하게 된다. 야적장 조성으로 해상플랜트 반출 및 서해안지역 해상풍력 지원을 위한 중량물 부두구축은 그래서 더욱 시급하다.


군산항은 산업단지와 인접하고 있어 중량물 해상운송이 용이해 해상풍력 배후 항만을 조성하기에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 이곳에 기업을 유치하고 협력업체들의 기업활동을 지원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전북이 명실공히 해상풍력 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을 간과하지 말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