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등 수도권을 제외하고 도세가 비슷비슷한 전국의 지자체들은 규모화를 통한 지역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이미 통합을 했거나, 시도하다 실패했거나, 꾸준히 시도하고 있다. 전북의 경우 전주 완주 통합도 그런 차원에서 시도하다 실패한 뒤 다시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경우다. 지역 간 통합문제는 외부 자원이나 힘을 동원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내부에서 동력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해가 걸린 지자체들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을 부단히 찾는다. 이른바 ‘내발적 발전전략’의 일환이다. 전북의 完全(완주·전주) 통합추진 역사를 보자. 완전통합은 1997년 시도한 이래 26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세 번 실패했고 이번에 민간단체가 나서 네 번째 시도 중이다. 분위기 조성을 위해 도지사가 두 지역 상생협력사업을 이끌고 있다. 완전 통합이 중요한 이유는 구심점이 없는 전북발전에 기폭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전국은 메가 열풍에 들떠 있다. 지난 연말에는 느닷없이 정부 여당이 정략적으로 김포시를 서울로 편입하겠다고 하자 김포뿐 아니라 서울 인접 지역이 들썩인다. 경기도는 북부특별자치도를 추진하고 있다. 4·10 총선 전략에서 나온 것이지만 전국이 역동적으로 움직였다. 다른 지역, 가령 경북 군위군은 자발적으로 작년 7월 1일부터 대구광역시로 편입해 들어갔다. 전북이 처한 현주소는 어떤가. 지금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축소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더군다나 서울 등 수도권이 블랙홀처럼 모든 것을 빨아들이면서 지방은 뼈만 앙상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생활권이 같은 자치단체의 통합이 현재로서는 최선이다. 다행히 김관영 지사는 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이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법 전부개정법률(안) 제189조에 들어있듯, 도지사의 의지가 중요하기에 도민들은 이 문제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엊그제는 김 지사의 주도로 우범기 시장과 유희태 군수가 도청에 모여 전주 완주 상생협력 11차 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두 단체장은 경계인 전주 에코시티와 완주 삼봉지구까지의 싱습 교통정체 구간에 대한 도로확장을 공동 추진해서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로 했다. 양 지역의 상생협력사업은 이미 10차례나 진행돼 왔다. 지금까지 발표한 대표적 상생협력사업은 상관저수지 힐링공원 조성사업과 공공급식분야 농산물 상호공급 확대사업, 자전거 도로확충, 파크골프장 조성, 혁신도시 체육공원, 지역사랑상품권 상호 유통 등 25개에 달한다. 통합을 떠나 다양한 분야의 이 사업들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지역주민들의 생활편익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전북은 전주·완주 통합의 경우 30년 동안 세차례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민선 8기 들어 민간단체가 나서 네차례 통합을 시도하고 있으나 유희태 군수와 군의회뿐 아니라 전주의 일부 유사단체까지 나서 통합에 훼방을 놓고 있다. 공동체의 이익보다는 정치꾼들의 사욕이 앞선 탓이다. 마산·창원·진해가 통합한 창원특례시와 청주·청원이 통합한 청주시 등을 살펴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