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산단 내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생산되는 트럭은 지난 30여 년 전국 트럭 점유율 95%를 차지하며 전북경제의 큰 축을 담당해 왔다. 대형트럭 1대 가격이 승용차 3~5대 값에 달해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제품이다. 그러나 시장 환경이 크게 변해 2011년 전주공장에서 6만4천대를 생산했던 트럭이 작년에는 4만여 대에 그쳤고 잦은 노사 갈등을 비집고 들어온 유럽과 중국 트럭의 공세에 밀려 지금은 전국 시장점유율이 고작 2% 선다. 전주공장의 트럭 생산능력은 연간 9만대 규모이나 현재 가동율은 절반을 밑돈다. 여기에다 유럽 등 선진국들은 오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트럭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어 친환경 차를 생산하지 않으면 아예 시장을 잃을 처지다. 위기를 느낀 전북자치도가 상용차산업 노조를 비롯한 도내 상용차산업 관련 16개 기관‧단체와 함께 상용차산업 노사정 상생 선언과 ‘상용차산업 혁신전략 추진단’을 출범시켰다. 추진단은 상용차산업 미래생태계 구축과 고용의 공정한전환과 노동자의 권익향상을 위해 신뢰를 바탕으로 노사정이 상생 협력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꾸려졌다. 이들은 앞으로 상용차산업 혁신전략 추진단 구성 및 협력을 결의하고 상용차산업 노사의 소모적인 갈등 지양 및 생산적관계로의 전과 지자체와 전문기관의 행‧재정적 지원과 상용차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이 조직에 민주노총 산하 전북금속노조, 한국노총 산하 전북금속노련, 현대자동차전주공장 노조, 타타대우상용차 노조, 사용자 단체는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및 타타대우상용차와 관련 협력업체 등 노동계가 모두 참여한 것은 큰 수확이다. 또한 상용차산업 육성과 인력양성, 판매‧보급 지원 등을 맡을 전북자치도와 전주시, 군산시, 김제시, 완주군, 그리고 R&D 등 기술개발과 정책발굴을 지원할 자동차융합기술원, 전북연구원, 전북테크노파크 등 기관단체의 참여는 측면 지원을 할 것이다. 아시는 바와 같이 윤석열 정권은 노조를 아예 적으로 돌리는 ‘노조 무시 정책’을 펴고 있는 때에 나온 노사정 상생선언은 지역경제를 위해 바람직할 뿐 아니라 시의적절하다. 사용자와 노조는 항상 투명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상생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상호 이해와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상황에 따라 경영진이 노동자들의 의견을 수용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 노동자들에게 신뢰감을 심어줘야 한다. 공정한 대우와 혜택을 제공하고 갈등은 조기에 예방하며 적극적인 노력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래야 상생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번에 출범한 추진단은 과거와 달리 상호 신뢰 속에서 노조와 기업인이 중심이 돼 상용차산업 발전을 위한 지혜와 아이디어를 모으는주도적인 역할을 맡고 소모적 갈등은 지양하고 타협과 양보를 최우선가치로 삼아 상생협력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 도내 노사 간 소통협력과 상생발전문화 확산에는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상용차 노사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노사정이 함께 상생하고 혁신해 상용차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함께 찾아서 꼭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