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대진표 확정, 공정한 경쟁 펼쳐라
후보 등록을 끝낸 전북 10개 선거구의 총선 대진표가 최종 확정됐다. 이번 총선 후보는 모두 33명이 출사표를 던졌는데 지난 21대와 비교하면 11명이 줄었다. 그만큼 경쟁률은 낮아졌다. 10개 선거구 중 가장 경쟁이 치열한 곳은 전주을로, 5대 1이다. 공석이 된 광역 및 기초의원 재보궐선거도 도의원 2곳과 군의원 1곳에서 치르는데 모두 5명이 등록했다. 다만 남원 2선거구만 경쟁자가 없어 무투표 당선이 확정됐다. 일부 선거구의 분할과 합병 등 변동에다 당내 경선으로 달아올랐던 선거 분위기는 후보 등록 마감 이후 오히려 차분한 느낌이다. 당내 경선 통과가 곧 당선이라는 특정 정당 편중 현상 탓이기도 하겠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는 지역현안 등을 놓고 갑론을박해야 할 후보 간 정책토론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이제 선거일은 보름여 앞으로 다가왔다. 그런데도 후보 간 정책대결이 보이지 않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는 후보들이 상대 비방과 흠집내기에 치중하면서 정책과 비전이 실종돼 유권자들의 판단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 어렵게 공천을 거머쥔 민주당 후보들은 본선에는 별 신경을 쓰지 않는가. 일당 독점의 선거구도가 지역에 고착화 된 탓에 자만한 것인가. 도내에는 지금 대광법을 비롯한 전주-완주 통합문제, 새만금개발문제, 남원국립의전원문제, 새만금 이차전지특화단지에 이어 바이오산업특화단지 지정문제 등 현안과 숙원사업이 산적해 있다. 총선 후보들은 이 문제를 놓고 정책과 견해와 입장 등을 분명히 밝혀 유권자들의 판단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여야 후보들이 중앙정치 이슈에 함몰돼 ‘국정안정론’과 ‘정권심판론’을 호소하면서 지역 현안은 관심 밖으로 밀려나 있다. 이번 총선을 통해 시급한 지역현안을 정책과제로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우려된다. 지역소멸 위기의 시대, 생존을 위해 지역발전의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중차대한 시점이다. 민의를 대변하면서 지역과 국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참 일꾼을 뽑아야 한다. 특정 정당의 공천을 받은 후보에게 ‘묻지마식’ 관행으로 표를 던지는 것은 참정권을 포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주권자로서의 소중한 권리를 특정 정당에 통째로 맡기는 것은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뚜렷한 정책과 비전도 없이 그들끼리의 세 대결, 그리고 선거공학을 영리하게 활용하는 후보가 이기는 선거가 반복되다 보면 지역의 미래는 담보할 수 없다. 각 정당과 후보들이 미래 가치를 담은 차별화된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면서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 경쟁하는 게 선거의 본질이다. 지지 후보를 결정해야 할 ‘유권자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결국 유권자들이 후보들을 정책대결·토론의 장으로 끌어내 옥석을 가려야 한다. 여야 후보들도 중앙정치 이슈만을 호소하면서 편 가르기에 나서 반사이익을 기대할게 아니라 정책대결과 토론의 장에 나서야 한다. 상대 정당·후보 비방과 편 가르기에 집착하고 정책 대신 감성에만 호소하는 정치인들은 설 곳이 없도록 선거문화를 바꿔야 한다. 그게 유권자의 책임이자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