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부터 22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됐다. 하루 전인 27일부터는 해외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인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재외투표가 실시됐다. 여당의 국정안정론과 야당의 정권심판론 중에서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유권자의 시간’이 시작된 것이다. 전북은 지역구 254석, 비례대표 46석 등 300명의 국회의원 중 10석의 선거구에서 후보를 선출한다. 어차피 전북에서는 이번에도 특정 정당 일색의 후보가 선출될 것이다. 하지만 그렇더라도 도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후보는 철저히 가려 내야 한다. 시야를 전국으로 확대해 보면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2년 만에 치러져 자연스럽게 중간 평가 성격을 띠고 있다. 지난 2년의 시간을 국민이 어떤 평가를 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임기 후반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향배가 갈린다 특히 여당은 절박한 처지에 놓여 있다. 이번에 반드시 과반수 승리를 거둬야 윤 대통령의 국정과제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정권 재창출의 기반을 다질 수 있어서다. 반대로 민주당 등 야권은 과반 이상을 목표로 삼고 있다. 과반수 유지에 실패하면 정권 독주를 견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내부 분열의 원심력이 커지고 수권정당의 희망 또한 낮아진다.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이 갖는 각별한 의미를 인식하고 민의를 대변하면서 나라의 미래를 열어나갈 적임자와 정당을 고르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제 선거일까진 10여 일이 남았지만 지금까지 보여준 대통령과 여당의 태도를 보면 유권자는 안중에 없는 퇴행적 행태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이 아예 대놓고 선거운동을 하는 여당의 공약만 봐도 유권자들의 눈을 붙잡고 귀를 솔깃하게 하는 인기 영합적 정책들이 대다수다. 전북을 제외하고 전국 각지를 돌며 25차례의 민생토론회를 가진 대통령은 특정 지역과 연령, 계층에 소구하는 공약을 남발하면서도 재원조달 방안은 안보인다. 그러니 ‘입벌구’ 소리를 듣는다. 이에 더해 여당은 여야 합의로 내년 시행을 앞둔 금융투자소득세를 폐지하겠다고 한다. 윤 정부의 감세 기조에 따라 세수가 크게 줄어 이공계 연구개발 예산마저 대폭 삭감한 마당에 무슨 수로 예산을 충당하고, 빚을 내 비용을 조달하더라도 어떻게 뒷감당을 하려는지 걱정이다. 정책 경쟁이 실종된 선거는 저급한 네거티브 공방으로 전개되기 십상이다. 이미 여당은 상대를 '종북세력', '범죄집단'으로 매도하는 등 선거전을 갈등 프레임 대결로 끌고 가고 있다. 국민을 남녀, 세대, 지역에 따라 내 편, 네 편으로 갈라쳐 표를 얻어보려는 심산이다. 이런 양태로 봐서는 이번 총선에서도 '아니면 말고' 식의 거짓 폭로와 흑색선전이 줄을 이을 게 자명하다. 막말과 비방으로 상대를 악마화하면 잠시 달콤할지 모르나 민심의 역풍을 맞을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국민 눈높이에 어긋난 후보를 걸러내는 것은 유권자에게 주어진 의무다. 자격 없는 후보를 가차 없이 걸러내고 시대 흐름에 역행한 정당에 회초리를 들어 정치 선진화의 발판을 만들어야 한다. 유권자가 달라져야 세상이 바뀔 수 있다.